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 본격 출범…2028년까지 946억 원 투입
대한민국 대표 민관 원팀 AI 연구 구심점 기대
[아이티데일리] 정부가 세계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으로 ‘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을 출범시켰다. 국가 AI 연구거점에는 2028년까지 총 946억 원(국비 440억 원, 민간 현금, 현물 지원 506억 원)이 투입된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서울 양재 AI 허브에서 개소식을 열고, ‘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National AI Research Lab)’ 개소식을 개최했다.
국가 AI 연구거점에서는 국내외 유수의 연구진이 교류하며 AI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뉴럴 스케일링 법칙 초월연구와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 등 혁신적 프로젝트를 통해 글로벌 AI 리더 양성과 산학연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참여 기관으로는 KAIST, 고려대, 연세대, 포스텍 등 국내 대학과 함께 토론토대, 워털루대, 스탠퍼드대 등 해외 유수 대학이 포함돼 있다.
정부는 이번 출범이 지난 9월 국가 AI 위원회와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에 이어, 대한민국이 AI G3 도약을 위한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오는 11월에는 AI 안전연구소를 설립해 고도화된 AI 위험에도 체계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며, AI 발전과 안전을 균형 있게 고려한 AI 기본법 제정을 국회에서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은 “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의 성공적 출범과 혁신적 운영이 우리나라 AI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AI 산업 진흥, 신뢰 기반 조성과 대한민국 AI 세계 3대 강국 도약 ‘국가 총력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국회에서의 AI 기본법 제정이 시급한 상황으로, 정부는 이를 보다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