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딜로이트 “생성형 AI 확대로 아태 지역 파운드리 성장”
AI 전용 데이터센터 증가세…2027년 AI 칩 시장 규모 4천억 달러 전망
[아이티데일리] 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특수 칩과 서버 하드웨어 시장 규모가 500억 달러(약 69조 원)를 넘어선다는 예상이 나왔다. 특히 오는 2027년에는 AI 칩 시장 규모가 4천억 달러(약 555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25일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최근 발표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TMT(기술, 미디어 및 통신) 분야 생성형 AI 동향 및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 지역의 생성형 AI 도입 현황과 산업별 변화, 트렌드 및 도전 과제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IT, 하드웨어, 반도체,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통신, 스포츠 등 아태 지역의 주요 산업에서 생성형 AI가 미치는 영향과 향후 전망을 구체적 수치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딜로이트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생성형 AI 특수 칩과 서버 하드웨어 시장 규모는 5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2027년 기준 AI 칩 시장 규모 전망치가 4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많은 기업이 일부 제품에 생성형 AI 기술을 통합할 전망이다. 이를 통해 발생하는 매출도 약 100억 달러(약 1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보고서는 중국 정부와 같이 국가 차원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통제하려는 경우도 있으며 불충분한 인프라, 중소기업의 디지털화 지연 등 도전 과제가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생성형 AI 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전용 데이터센터의 비중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변화가 하드웨어 생산의 선두주자인 아태 지역에 더 강력한 성장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지난해 AI 툴을 활용한 칩 설계에 약 3억 달러를 지출했으며, 2026년에는 그 규모가 5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늘어나는 생성형 AI 칩 수요로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아태 지역의 파운드리 기업이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현재 이미지 처리용 반도체(GPU) 시장은 미국의 주요 팹리스(Fabless)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나 이들은 아태 지역의 반도체 제조 기업들과 협력해 생산을 진행 중이다. 그 결과 아태 지역의 반도체 제조 및 검사 공정 기술도 급성장하며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한편, 딜로이트는 생성형 AI의 미래를 두고 멀티모달리티, 로봇공학 기술, 에너지 절감 기술이 발전하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확장될 것으로 전망했으나 데이터 보안, 개인정보 보호, 저작권 준수에 대한 강력한 규제도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 일부 직업을 제외하고 새로운 고용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 예상했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 첨단기술, 미디어 및 통신 부문 리더인 최호계 파트너는 “아태 지역의 생성형 AI 도입으로 인한 강력한 규제 등 도전이 예상되지만, IT부터 통신, 스포츠에 이르는 다양한 TMT 산업을 근본적으로 혁신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