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 국내 태블릿 출하량 169만 대…전년비 22%↓

한국IDC 조사…엔데믹 전환 후 기기 보급 사업 감소 등으로 시장 축소

2024-09-19     한정호 기자

[아이티데일리] 올해 상반기 국내 태블릿 출하량이 전년 대비 22% 감소한 약 169만 대를 기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태블릿 시장은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한 가계 소비 여력 감소와 줄어든 공교육 사업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축소된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한국ID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국내 태블릿 시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태블릿 시장의 출하량은 전년 대비 22% 감소한 약 169만 대로 집계됐다. 지난 팬데믹 기간 동안 홈 엔터테인먼트와 공교육 스마트 기기 보급 사업 등의 특수로 태블릿 시장이 크게 성장했지만, 엔데믹 전환 후에는 기존 수요 충족 및 보급 사업 축소 등의 이유로 계속해서 시장이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최근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트렌드를 기반으로 태블릿의 생산성과 멀티태스킹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온디바이스 AI가 엔데믹 전환 후 침체돼 가는 국내 시장에 활력을 넣어줄 새로운 셀링 포인트가 될 것으로 한국IDC는 분석했다.

국내 태블릿 분기별 출하량 (단위: 천대)

올 상반기 국내 태블릿 시장은 전반적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공교육 사업이 축소되면서 감소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디태처블 태블릿은 전년 동기 대비 16.3% 성장한 반면 슬레이트 태블릿은 54.4% 감소했다. 이는 공교육 현장에서 교육 협업툴 활용 등 고사양 모델의 필요성이 증가하며 기존 슬레이트 태블릿에서 디태처블 태블릿으로 수요가 옮겨간 데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스크린 사이즈별로 11인치 이하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21.7%포인트 감소한 48.9%를 기록했다. 반대로 11인치 이상 제품의 점유율은 51.1%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능 칩셋 적용 및 키보드·펜 등 액세서리 활용이 증가하며 문서·디자인 등 생산성을 요구하는 작업이 늘어남에 따라, 한 개의 화면에서 여러 창을 동시에 띄어두고 작업할 수 있는 화면 분할이 용이한 대화면 수요가 증가했다는 게 한국IDC 측 분석이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은 프리미엄 제품 비중의 확대로 평균 판매 가격(ASP)은 전년 동기 대비 6.6% 상승한 61만 6천 원을 기록했다.

국내 태블릿 시장별 출하량 (단위: 천대)

시장별로 살펴보면 컨슈머 시장은 신학기와 더불어 iOS 플래그십 모델 출시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됐으나, 대부분의 수요 충족 및 소비 심리가 약화되며 전년 동기 대비 10% 하락했다.

다만 삼성전자의 갤럭시 탭S FE 시리즈 등 가성비 플래그십 제품의 확대로 하락세가 다소 완화되는 추세로 나타났다. 교육 부문은 일부 교육청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교육 사업이 하반기로 지연되며 전년 대비 40.2% 크게 하락했다. 공공 부문 역시 전년 대비 46.0% 크게 하락했다. 이는 사회적 취약 계층을 지원하는 정부의 태블릿 응급 안전 서비스 사업이 종료된 것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기업 부문은 경기 침체의 불확실성으로 기업의 디바이스 구매 예산이 축소됨에 따라 전년 대비 18.9% 감소했으나, 1,000인 이상 대기업을 중심으로 ESG경영에 따른 고객 서비스 접점 도구로 태블릿 활용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IDC에서 태블릿 시장 리서치를 담당하는 강지해 연구원은 “최근 온디바이스AI의 흐름은 엔데믹 전환 후 침체돼 가는 태블릿 시장에 활력을 넣어줄 새로운 셀링 포인트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실시간 번역, 텍스트 요약, 이미지·비디오 편집 등 AI 기술의 적용으로 태블릿의 생산성과 멀티태스킹을 한층 더 향상시켜 생산성 도구로서의 포지셔닝을 강화할 수 있다”며 “다만 일괄적인 AI 기술 적용이 아닌 태블릿이라는 폼팩터에 최적화된 형태로 AI 기술을 적용시킨다면 사용자의 실질적인 경험을 개선하고 관련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확대로 장기적으로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태블릿은 과거 ‘스마트폰의 확장’이라는 느낌에서 나아가 이제는 ‘휴대성이 좋은 작은 PC’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