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자원, 디지털행정서비스 장애 예방 예산 1186억원 투입

내년 범정부 정보자원 예산 5,559억원…노후 장비 교체 예산 전년비 30%↑

2024-09-09     한정호 기자

[아이티데일리]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자원)은 범정부 정보자원의 효율적 구축 및 안정적 운영·관리 등을 위해 내년도 예산안으로 5,559억 원을 반영했다고 9일 밝혔다.

국자원에 따르면, 이는 올해 대비 375억 원(7.2%↑) 증가한 규모다. 또 센터 완공으로 사업이 축소되는 대구·공주센터 예산을 제외하면 679억 원(14.2%↑) 증가했다.

국자원은 지난해 발생한 행정전산망 장애 재발 방지를 위해 ‘디지털행정서비스 국민신뢰 제고대책’을 올 초 마련한 바 있다. 해당 대책 이행에 중점을 두고 내년도 예산안도 구성했다는 게 국자원 측 설명이다.

국자원은 디지털행정서비스 장애 예방을 위한 예산에 1,186억 원을 반영했다. 주요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오랜 기간 운영돼 장애 발생 위험도가 높은 노후 장비 교체 예산은 1,096억 원으로 올해 대비 251억 원(30%↑) 증액됐다.

국민 생활과 밀접한 1등급 대국민 행정서비스를 중심으로 내용연수가 지나 장애 발생 비율이 높은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교체에 981억 원이 반영됐다.

특히 장애 발생 시 모든 행정·공공기관에 영향이 있거나 다수의 대국민 행정서비스 마비로 이어질 수 있는 국가정보통신망 네트워크 장비 등 공통 장비 교체에 115억 원을 편성해 시스템 안정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다음으로 디지털행정서비스 국민신뢰 제고대책에 따라 국자원의 범정부 장애 관리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에 60억 원이 새롭게 반영됐다. 국자원에 미입주된 행정·공공기관의 주요 정보시스템 장애 통합모니터링 확대, 통합관제시스템 고도화 등 디지털안전상황실 인프라 보강을 통해 범정부 차원 장애 위험징후의 상시 감시체계를 강화한다는 목적이다.

또한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를 지원하기 위해 행정·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구조진단 및 기술지원 예산을 신규 편성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장애 예방 및 대응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아울러 장애 발생 시 즉시 가동할 수 있는 재해복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30억 원이 새롭게 반영됐다. 국자원은 지진·화재 등 각종 재난·재해는 물론 장애 시에도 시스템이 별도 서비스 중단 없이 가동되도록 다중 지역(센터) 동시 가동(Active-Active) 기반 재해복구 체계를 새로 도입할 방침이다.

이에 맞춰 내년에는 인프라 구축 및 시범 운영을 통해 효율성·안정성 등을 검증하고, 2026년부터 기존의 서버 기반 재해복구시스템은 다중지역 동시 가동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국자원 이재용 원장은 “2025년 예산을 행정전산망 개선 종합대책의 차질 없는 이행에 중점 투입해 국민이 디지털정부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