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교통부, 모빌리티 부문 탄소제로 목표 3가지 전략 발표

2024-07-22     조민수 기자
사진=픽사베이

[아이티데일리] 미 교통부(DOT)는 파리협정에 따른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통수단에서의 탄소 배출을 거의 제로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이를 위한 세 가지 전략을 발표했다.

교통부는 최근 교통 부문의 탈탄소화에 관한 44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의회에서 발표하고 그 요약본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홈페이지 게시글에서 교통부는 모빌리티 탈탄소화를 위한 세 가지 전략을 설명했다. ▲사람과 화물의 이동 거리를 줄이고 ▲보다 에너지 효율적인 이동 옵션을 늘리며 ▲운송 수단을 배출가스 없는 차량과 연료로 전환한다는 게 골자다.

보고서는 미국의 국제 약속에 따라, 미국 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교통부의 전략과 조치를 설명한다. 조치는 2023년 1월 발표된 바이든 행정부의 교통 탈탄소화 청사진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교통부에 따르면 모빌리티 부문은 미국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33%를 차지한다. 또 승용차, 트럭, 버스는 미국 전체 모빌리티 부문 배출량의 70%에 달한다. 그러나 운송 수단에 따라 이동 거리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내는 '배출 강도'는 다르게 나타난다.

온실가스 배출은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이다. 유엔 파리협정에 따라 미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005년 수준에서 최소 50% 줄이고, 2050년까지 순 제로 배출을 달성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온실가스 배출을 제로에 가깝게 낮추지 않고서는 순 제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교통부는 이에 따른 조치가 강력하게 시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최우선 조치는 대중교통 중심 개발이다. 이를 통해 일자리, 쇼핑, 학교, 오락 및 기타 서비스에 대한 편리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새로운 토지 이용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걷기, 자전거 타기, 스쿠터 등 마이크로모빌리티 등을 지원하고 카풀이나 고용주의 대중교통 이용권 지원 등을 추진한다.

에너지 효율적인 운송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대중교통 및 여객 철도에 대한 투자도 늘린다. 승용차, 소형 트럭, 밴 및 대형 트럭의 연비 기준도 높인다. 저배출 항공 연료를 개발하고 화물 운송을 트럭에서 보다 에너지 효율적인 철도 및 해상 운송으로 전환한다.

전국 전기차 충전소 네트워크 구축 방침도 보고됐다. 50억 달러를 투입해 연방 고속도로를 따라 충전소를 건설하고, 25억 달러를 들여 도시 및 농촌 지역사회 내에 전기차 및 대체 연료 공급 시설을 구축한다.

그러나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탄소 배출 감소 목표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바이든 행정부의 2023년 규칙은 적지 않은 지자체의 반발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지난 3월 텍사스 법원은 교통부가 규제를 강행할 권한이 없다고 판결하면서 이 규칙을 파기했다. 연방의회의 공화당 의원들도 이 규정에 반대했다. 교통부의 이번 조치는 규제에 대한 여러 지자체의 반대와 관계없이, 모빌리티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