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④] “제너레이티브 AI 기반 고효율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리 전략”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컴퓨팅 연구센터 권경민 센터장
[아이티데일리] 2024년 본격적인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의 막이 올랐다.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생성형 AI 시장 경쟁의 주도권을 쥐고자, 혹은 새로운 비즈니스 활로를 모색하고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개발과 솔루션 구축을 위해 고성능 컴퓨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면서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요성 역시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생성형 AI의 확산이 국내 클라우드 산업 성장의 기회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면서 우리 정부도 ‘K-클라우드 프로젝트’ 등의 사업을 추진, 부처·공공기관의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생성형 AI, 클라우드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본지(컴퓨터월드/아이티데일리)는 지난달 1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각계 클라우드 전문가 및 국내 대표 기업들과 함께 생성형 AI 트렌드를 기회로 삼아 클라우드 산업이 자생력을 갖추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생성형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을 주제로 ‘제7회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노그리드의 권경민 클라우드 컴퓨팅 연구센터장은 ‘제너레이티브 AI 기반 고효율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리 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권경민 센터장은 생성형 AI 지원을 위한 국내 클라우드 기반 ML옵스 플랫폼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성공적인 AI 모델 및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는 △AI 모델 개발 및 서비스 배포의 시간 소모 복잡성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AI 모델 간의 연동 부족 △데이터 처리 및 관리 복잡성 증가 △클라우드 환경 간 호환성 문제 및 관리 복잡성 등 각종 장벽들을 해결야한다는 설명이다.
이노그리드는 컨설팅, 솔루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데이터센터 운영 관리 등 모든 클라우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이노그리드만의 클라우드 생태계 ‘클라우디버스(CLOUDIVERSE)’를 구축했다. 특히 이노그리드는 클라우디버스 생태계에 대표 ML옵스 플랫폼인 ‘사이-다(SAi-Da)’를 서비스하고 있다. 사이-다는 인프라와 AI 워크플로우 운영 관리 지원은 물론, 서드파티(3rdparty) 데이터&AI 모델 저장소 연계와 대용량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돕는다.
아울러 이노그리드는 클라우디버스를 통해 AI 모델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AI-PaaS를 서비스 중이다. 다양한 오픈소스 개발 도구 및 환경 연동이 가능한 PaaS 플랫폼으로써,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클라우드 및 다양한 국내외 CSP 클라우드 서비스 연계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GPU, 텐서처리장치(TPU), 신경망처리장치(NPU) 등의 연산장치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권경민 센터장은 앞으로 AI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어 여러 노하우가 축적된 기업과 파트너쉽을 맺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권경민 센터장은 “이노그리드는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부터 통합 운영 관리까지 가능한 솔루션뿐만 아니라, 지능형 AI와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노그리드와 협업하면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