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②]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장 전망 및 전략: 칵테일 클라우드를 활용한 효율적인 GPU 관리”
나무기술 기술3본부 장현 상무
[아이티데일리] 2024년 본격적인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의 막이 올랐다.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생성형 AI 시장 경쟁의 주도권을 쥐고자, 혹은 새로운 비즈니스 활로를 모색하고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개발과 솔루션 구축을 위해 고성능 컴퓨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면서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요성 역시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생성형 AI의 확산이 국내 클라우드 산업 성장의 기회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면서 우리 정부도 ‘K-클라우드 프로젝트’ 등의 사업을 추진, 부처·공공기관의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생성형 AI, 클라우드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본지(컴퓨터월드/아이티데일리)는 지난달 1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각계 클라우드 전문가 및 국내 대표 기업들과 함께 생성형 AI 트렌드를 기회로 삼아 클라우드 산업이 자생력을 갖추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생성형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을 주제로 ‘제7회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나무기술 장현 상무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장 전망 및 전략: 칵테일 클라우드를 활용한 효율적인 GPU 관리’를 주제로 세션 발표를 진행했다. 먼저 장현 상무는 “AI 열풍으로 인해 클라우드 네이티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서비스형 플랫폼(PaaS)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aaS 전문기업 나무기술은 고객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전략 구상, 구축, 적응, 확산 등 4단계의 클라우드 로드맵을 바탕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쿠버네티스(Kubernetes) 클러스터 기반의 ‘칵테일 클라우드(Cocktail Cloud)’를 핵심 PaaS 솔루션으로 서비스해, 종속되지 않는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구현과 쉽고 편리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운영을 돕고 있다.
나무기술의 칵테일 클라우드는 통합 대시보드를 통해 클러스터를 구성한 인프라 현황과 이벤트들을 한 화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멀티테넌시 기능과 워크스페이스 등록을 지원한다.
장현 상무는 AI 시대의 필수품이 된 GPU의 효율적인 활용과 AI/ML 생산성 향상을 위한 칵테일 클라우드의 GPU 리소스 지원 방식을 소개했다.
장현 상무는 “칵테일 클라우드는 하나의 GPU를 여러 이용자가 나눠 사용하는 ‘멀티 인스턴스’ 방식과 GPU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타임 슬라이싱’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특히 칵테일 클라우드는 클러스터별, 노드별 GPU 리소스 사용 현황도 대시보드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면서 “AI 시대에 컨테이너와 PaaS는 필수가 되고 있다. 나무기술은 앞으로도 칵테일 클라우드를 주축으로 쿠버네티스 운영환경과 올인원 PaaS, ML옵스 등 클라우드 컨설팅부터 구축·관리까지 클라우드 전반의 과정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