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2월부터 개방형OS 도입전략 수립…2026년까지 단계적 확대 추진

[아이티데일리] 올해 말부터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PC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에서 개방형 운영체제(OS)로 교체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이하 행안부)는 이달 개방형 OS 도입전략 수립을 시작으로 10월부터는 행안부의 일부 인터넷PC에 개방형OS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개방형OS는 특정기업에 종속된 ‘윈도우’와 달리 소스프로그램이 공개돼 있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OS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구름 OS’, ‘하모니카 OS’, ‘티맥스 OS’ 등이 대표적이다.

행안부는 최근 ‘윈도우7’ 기술지원 종료와 같이, 특정기업에 종속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해당 기업의 기술지원 중단 및 전체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등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을 교체 배경으로 설명했다.

정부는 기존에도 개방형OS 도입 필요성을 인식해 왔으나, 다수 웹사이트와 업무용 SW가 윈도우 환경에서만 작동하는 문제에 가로막혀 있었다. 그러나 최근 국내 기업들이 성능과 기술지원체계가 개선된 다양한 개방형OS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활용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으며, 올해 말까지 공공 웹사이트에서 윈도우에 종속된 플러그인을 완전히 제거할 예정이기에 도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 개방형OS 도입을 통해 공무원 1인당 PC 이용대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개방형 OS는 하반기부터 시작될 예정인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도입된다. 민간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PC 환경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형태로, PC를 책상 위에 두지 않고 필요할 때만 데이터센터에 접속해 원격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개방형 OS는 가상 PC의 운영프로그램으로 도입된다. 이를 통해 중앙부처 공무원 1인이 사용하는 물리적인 PC가 2대에서 1대로 줄어들게 돼, 관련 예산도 절감할 수 있다.

행안부는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행정기관의 개방형OS 확산에 나선다. 5년으로 지정된 PC 내구연한이 끝나는 2026년부터는 대부분의 공무원이 개방형OS를 사용하게 된다. 행안부는 서비스의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을 위해 새롭게 관련 보안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관련 기업에 기존 프로그램의 호환성 확보를 위한 예산과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개방형OS 이용으로 연간 약 700억 원 이상의 비용 절감과 함께 외국계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PC용 OS 시장에 국내 기업 진출이 쉬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기술종료에 따른 각종 보안문제와 그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 등 부수적인 업무들이 사라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최장혁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개방형OS 도입을 통해 특정 업체의 종속을 해소하고 예산도 절감하겠다”면서, “개방형OS에 대한 정부수요가 관련 국내 기업의 시장참여와 기술투자의 기회가 돼,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확대와 새로운 SW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