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생체인증 프로젝트 활발한 가운데 “지문·홍채·얼굴 등 국산 기술도 도입돼야” 목소리

▲ 최근 금융권을 중심으로 정맥인식 기술 도입이 활발함에 따라, 국내 업계에서는 외산 기술의존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아이티데일리] 최근 KB국민은행, 신한은행, MG새마을금고, 우리은행 등 국내 금융권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는 정맥인식 기술이 외산, 특히 일본 기업의 기술이라는 점에서 대(對)일본 기술의존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내 생체인식 업계는 금융권이 지문, 홍채, 얼굴 인식 등 다양한 국산 기술을 제외하고 외산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된 정맥 인식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특히 금융권이 지문, 홍채, 얼굴인식에 대한 테스트 없이 정맥인식 기술만을 선호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 4월 KB국민은행이 자동현금인출기(ATM)에 정맥인식을 적용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금융권에 생체인식 기술 도입이 본격화되고 있다. 신한은행 또한 정맥인식 기술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은행은 정맥, 지문, 홍채인증 등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운영하고 있다. IBK기업은행 또한 디지털 금융키오스크에서 고객 스스로 은행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뱅킹존’을 도입하고 정맥 인증으로 실명확인 및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 KEB하나은행, NH농협 등도 정맥인식 기반 출금 서비스를 도입할 방침이다. 더불어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BNK경남은행 등 지방은행과 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도 ATM 등 기기에서 손 정맥을 이용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융권이 정맥인식 기술을 우선적으로 도입하는 이유로는 ▲보안성 ▲안전성 등에서의 강점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보안성에 있어, 정맥은 지문이나 홍채, 얼굴에 비해 정보를 습득하기 어렵다는 강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인물 사진에 담겨진 얼굴과 홍채, 지문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나, 정맥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정보를 획득하기 매우 어렵다.

안전성 측면에서는 지문인식의 경우 인식 단말에 손을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오염에 취약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얼굴, 홍채, 정맥 등 비접촉 인식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얼굴 및 홍채 인식의 경우 소비자의 호불호가 있을 수 있어, 손으로 인식이 가능한 정맥인식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 금융권 측 설명이다.

하지만 금융권의 이러한 행보에 대해 국내 생체인식 업계는 날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정맥인식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것은 후지쯔, 히다찌 등 외국(일본)기업이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업계는 외산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늘어가는 것이 우려된다고 지적한다. 특히 도입 과정에 있어 국산 기술인 얼굴, 지문, 홍채인식 등의 기술에 대한 테스트 없이 일본 기업이 주를 이루는 정맥인식 기술을 우선적 도입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생체인식 부문 대표기업의 한 관계자는 “금융권에서 정맥인식 기술을 우선적으로 도입하는 과정에 대해 의문이 있다. 금융결제원 바이오정보 분산관리시스템은 지문, 정맥, 홍채 등 다양한 정보를 지원하고 있지만, 금융권은 동일한 환경에서의 테스트 없이 타 기술을 제외하고 정맥인식 기술만을 선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금융권에서는 충분한 테스트 후 정맥인식 기술 도입을 결정했다고 설명하지만, 국내 주요 생체인식 기업이 금융권 프로젝트 또는 테스트에 참가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이어 이 관계자는 “정맥인식 기술이 외산 위주로 시장이 형성돼 있어 향후 기술의존도가 높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금융권이 이야기하는 지문, 얼굴, 홍채인식 대비 정맥인식 기술의 장점은 정맥인식 기술 기업의 마케팅에 의한 그릇된 인식이며, 지문·얼굴·홍채 인식 기술도 위조 판별 기술을 적용하는 등 충분한 보안성과 안전성, 편의성을 갖추고 있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정맥, 지문, 얼굴, 홍채 인식 등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 테스트가 진행돼야 한다. 더불어 사용자가 정맥뿐만 아니라 지문, 홍채, 얼굴 등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멀티모달 인증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와 관련해 지난 8월에는 ‘은행의 일본기술 도입 및 기술 확산 금지를 청원합니다’라는 제목으로 청와대 국민청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청원자는 “정맥인식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 대부분이 일본기업”이라며, “국민들이 금융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신분을 확인할 때 일본 원천기술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은행에서의 일본기술 도입 및 기술 확산 금지를 청원한다”고 밝혔다. 이 국민청원은 9월 8일부로 마감됐으며, 총 1,065명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