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의료기술 혁신의 핵심”…최대 100만 명 규모 데이터 플랫폼 마련

▲ 정부 주도의 바이오헬스 기술개발 혁신생태계 조성 전략

[아이티데일리] 환자 맞춤형 신약과 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할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가 구축된다. 혁신신약과 의료기기 개발 등을 위한 정부 R&D 투자 역시 연간 4조 원 이상으로 확대된다.

정부가 22일 충북 오송에서 복지부·기재부·과기정통부·산업부 등 관계부처들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우리나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할 계획이다. 제약·바이오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술개발부터 인허가, 생산, 시장출시 단계까지 전 주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 특히 ▲5대 빅데이터 플랫폼 ▲R&D 확대 ▲정책금융 및 세제지원 ▲글로벌 수준 규제 합리화에 역점을 둔다.

지난해 제약·바이오기업의 신약 기술수출은 5조 3천억 원을 기록, 2017년에 비해 4배 증가했으며, 의약품·의료기기 등 수출도 144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19% 증가했다. 정부는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이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하며, ▲세계시장 점유율 3배 확대 ▲수출 500억 달러 달성 ▲일자리 30만 개 창출 등을 목표로 뒀다.

특히 정부는 전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이 표적항암제 등 개인 맞춤형 치료기술 중심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의료기술 혁신의 핵심기반이 데이터라는 점을 강조했다. 따라서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데이터 중심병원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바이오 특허 빅데이터 ▲공공기관 빅데이터 등 5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 데이터 중심의 의료기술 혁신을 이끌 ‘5대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먼저 최대 100만 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희망자를 대상으로 유전체 정보, 의료이용·건강상태 정보 등을 수집하고, 수집된 인체정보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등에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환자 맞춤형 신약·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한다. 내년부터 2만 명 규모의 1단계 사업을 시작으로, 오는 2029년까지 100만 명 규모의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병원별로 축적된 대규모 임상진료 데이터를 질환연구, 신약개발 등에 활용하는 ‘데이터 중심병원’을 지정한다. 국내 주요 병원들이 병원별로 보유한 진료 빅데이터는 일부 국가의 전체 인구규모(예 : 핀란드 인구 556만 명)보다 큰 규모다. 이러한 데이터가 신약 및 의료기술 연구에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표준 플랫폼을 마련하는 사업을 내년부터 시작한다.

한편, 막대한 개발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신약개발 과정을 효율화하기 위해 ‘AI 신약개발 플랫폼 개발’ R&D 사업이 올해부터 추진된다. 해당 플랫폼은 AI 기술을 활용해 후보물질과 타깃 질환 결합 과정을 효율화하는 등,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1/2~1/4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