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안성시, 빅데이터 기반 취약가정 예측·자립 위한 선제적 맞춤 복지지원

 
[아이티데일리] 정부는 지난 2015년 기초수급 대상자 선정을 위한 수급기준을 완화하는 등 복지혜택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평 모녀사건(2018.4), 구미 원룸 부자사건(2018.5)과 같이 복지 현장에는 여전히 혜택에서 소외된 이웃이 존재한다. 건강문제로 복지기관 방문이 어렵거나 위기상황에 신속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등 이유 또한 다양하다.

이에 행정안전부 책임운영기관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원장 김명희)과 경기도 안성시(시장 우석제)는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복지 서비스 분석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안성시로부터 제공받은 복지 데이터와 자체 확보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복지현황 파악을 위한 복지공감(共感) 지도 제작 ▲복지기관 접근성 분석을 통한 취약지역 지원방안 제시 ▲위기가정의 신속한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예측모델 개발 등을 추진한다.

복지공감 지도는 공간분석(GIS) 기술을 활용해 지역 내 공공 및 민간 복지기관의 다양한 지원항목과 이를 필요로 하는 수급자(복지대상자, 독거노인, 장애인 등) 현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복지혜택이 필요한 지역과 수급자를 빠르게 찾아내 복지기관의 활동을 최적화하거나 복지기관 설립 위치를 선정하는 등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 복지현황 파악을 위한 복지공감 지도

복지공감 지도 제작을 위한 분석 과정에서는 복지기관으로부터 도보로 약 15분 내 위치한 수급자에게 복지혜택이 집중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교통 및 건강 문제로 복지기관 방문이 어려운 수급자를 위해서는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수급자가 많이 거주하는 3개소(공도읍 2개소, 대덕면 1개소)를 복지기관 추가 설립지로 제시하고 교통이 불편한 지역을 아우르는 복지셔틀버스 4개 노선을 선정해 시범운행을 제안했다. 이를 적용하면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수급자 6,130명(55.7%) 중 1,567명(25.56%)이 복지기관 접근성 향상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질병·부상 또는 실직 등의 사유로 3~6개월 간의 한시적 지원대상이 되는 위기가정(긴급복지, 무한돌봄)이 기초수급대상이나 차상위 계층과 같은 지속적 지원 대상으로 이동할 가능성을 약 83.3%의 정확도로 예측하는 분석모델도 개발했다.

해당 모델은 기계학습 분야에서 활용되는 그래디언트 부스팅 머신(GBM) 알고리즘을 활용해 안성시의 과거 3년간의 위기가정 지원내역을 학습했다. 월소득, 세대구성, 질병부위 등 11개 항목을 주요 변수로 선정해 위기가정을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구현됐으며, 이를 통해 위기가정에 대한 빠르고 적절한 처방을 통해 일반가정으로 정상화시킬 수 있는 맞춤형 복지정책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양 기관은 분석결과를 공유하고 정책집행을 담보하기 위해 안성시청에서 찾아가는 분석 완료보고회를 25일 진행하고 향후 활용방안에 대해 함께 논의한다.

안성시 측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개발한 ‘위기가정 예측모델’을 자체 복지 시스템에 적용해 상시 활용하는 한편, 복지기관 추가 설립과 복지 셔틀버스 시범운행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명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이번 분석은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국민 체감을 높이고 행정 신뢰도를 제고하는 의미있는 사례”라며, “분석결과가 보다 많은 지자체로 확산돼 맞춤형 복지실현의 초석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