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제주·해남 등 주요 스마트시티 전략 수립 참여…‘한국형 스마트시티’ 구현 나서

▲ LG CNS의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시티허브’ 개념도

[아이티데일리] LG CNS가 IoT 결합형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시티허브(Cityhub, 가칭)’를 5일 출시했다.

‘시티허브’는 뛰어난 연결성을 바탕으로 도시 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서비스 제공 등 모든 영역을 담당하며, 교통·안전·에너지·환경 등 도시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를 한 곳에서 통합 관제하는 스마트시티의 심장 역할을 하게 된다.

스마트시티에서는 자동차·빌딩·신호등까지 도시 내 모든 사물이 연결돼 센서와 인터넷 기능을 갖추고 데이터를 생성 및 제공한다. 하지만 사물마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하는 방법이 다르기에, 스마트시티 플랫폼은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고 통신되는 데이터를 폭넓게 수용하며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시티허브’는 국제 IoT 표준인 원M2M(oneM2M)을 비롯해 물류·제조·유통 등 산업영역별 98종의 통신 표준을 지원한다. 이러한 연결성을 바탕으로 산업별로 다른 통신을 사용하더라도 별도의 플랫폼 구축없이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LG CNS가 독자 개발한 AI 빅데이터 플랫폼 ‘디에이피(DAP)’ 등 신기술을 적용해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을 활용한 고차원적 스마트시티를 구축할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서비스 도중 발생하는 정보를 재수집하고 분석해 도시의 정책 결정에 참고하는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도시·에너지·안전·환경 등 영역별로 서비스를 모듈함으로써 경제적인 스마트시티 구축 또한 가능하다. LG CNS의 IT서비스 분야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자체별로 원하는 스마트시티 기능을 최적화해 적용할 수 있으며, 도시의 인구·기후·인프라 상황에 맞는 기능을 빠르고 경제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가령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이 많은 도시는 ‘시티허브’를 활용해 빠르게 에너지 분야의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도입하고, 이후 교통·안전·의료 등으로 분야를 확장해 나갈 수 있다.

한편 LG CNS는 지난 2일 ‘시티허브’로 국토부가 추진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주관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기존에는 정부가 만든 통합플랫폼을 활용해야만 민간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지만, 인증을 획득한 기업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플랫폼을 정부 및 지자체의 스마트시티에 적용해 고차원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플랫폼의 기본 성능을 충족해야 하며, 정부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구축한 5대 안전망 서비스(112 긴급영상, 112 긴급출동, 119 긴급출동, 긴급재난사항 파악, 사회적 약자 지원)를 플랫폼에 안정적으로 연계할 수 있어야 한다.

LG CNS 측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시티허브’ 출시와 인증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기술과 경험, 인증까지 3박자를 갖추게 됐다”며, “민·관·공이 협력해 세계 표준을 선도할 수 있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구축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