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회 퓨처포럼’ 개최, 5G시대 상용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선언

▲ 전홍범 KT 융합기술원 안프라연구소장

[아이티데일리] KT(회장 황창규)는 서울 광화문 KT 웨스트(WEST) 사옥에서 ‘2018 1회 퓨처포럼’을 개최, 평창에서 검증한 자사 5G 혁신기술에 기반한 상용 자율주행 플랫폼 ‘5GaaVP(5G as a Vehicle Platform)’을 개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KT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 기술로 ‘5G를 통한 자율주행’을 강조했으며, 지난 2015년부터 준비해온 ▲5G 인프라 ▲5G-V2X(차량-만물간 통신)기술 ▲정밀측위 ▲지능형 관제 시스템 등을 공개했다.

또한 KT는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5G 자율주행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려 한다며, 판교와 대구 등에서 추진 중인 자율주행 실증단지 사업과 이를 통한 개방형 생태계 조성 계획도 소개했다.


■ 2020년부터 열리는 자율주행 시장 노린다

KT는 이날 발표에서 시장조사기관 내비건트 리서치(Navigant Research)의 조사 결과를 인용, 교통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2020년부터 자율주행 시장이 개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진입 준비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기존 차량이 자율주행 차량으로 점진적으로 대체될 것이며, 2035년에는 도로 위의 약 75%의 차량이 자율주행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기존 차량의 50%가 자율주행차로 대체되면 글로벌 추산 연간 약 250조 원의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들어 글로벌 업체들이 자율주행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제효과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여, KT는 5G 혁신기술을 통해 미리 관련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 안전한 자율주행 완성할 4대 차별화 기술 제시

지금까지 자율주행 차량은 차량의 센서와 라이다 등 자체 감지능력에만 의존해 운행됐기에, 돌발상황 대처 등에 미흡한 상황이 종종 있었다. 하지만 KT는 4대 핵심기술이 적용된 ‘5G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되면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가 동시에 연결되고 위험에 미리 대처할 수 있어 자율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1. 안정적 커버리지와 이동성을 제공하는 ‘KT 5G 인프라’
KT는 평창 5G 시범서비스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5G 네트워크를 구축해 자율주행 플랫폼의 기반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전파 도달거리가 넓은 3.5GHz 대역으로 전국 커버리지를 구축하고, 도심지역에서는 속도가 빠른 28GHz 대역을 추가로 활용할 예정이다. 5G가 아직 구축되지 않은 곳은 기존 LTE망을 사용해 끊김 없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달리는 자동차에서는 시시각각 네트워크 접속환경이 변하게 되므로, KT는 모든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5G의 ‘빔 트래킹’ 기술과 ‘5G-LTE 연동’ 기술을 활용, 자율주행에 최적화된 토털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2. 초저지연 차량 연결성을 제공하는 ‘5G-V2X’ 기술
KT 5G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과 교통인프라가 1~7ms (millisecond:1/1000초) 수준의 초저지연으로 연결돼, 센서 방식의 기존 자율주행보다 더 안전한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5G ‘네트워크 슬라이스(가상 분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전용 가상망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주행에 요구되는 보안성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KT는 특히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엔 강릉 지역에서 차량 3대를 활용한 5G 협력 자율주행을 실시해, 각 차량들과 교통신호기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무사히 군집 자율주행을 마친 바 있다.

3.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KT의 ‘정밀측위’ 기술

KT는 현재 위치를 최대 30cm 단위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하고, 플랫폼 형태로 제공할 계획이다. 정밀측위 기술을 5G 자율주행 플랫폼에 이용하면 주행 중인 차선까지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인 차량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KT의 정밀측위 솔루션은 2015년부터 개발돼 왔으며, 자율주행차에 적용해 최근까지 실사용 검증을 마쳤다. 향후 GPS 위성뿐만 아니라 LTE와 5G 기지국, 중계기, 와이파이(Wi-Fi) AP 등 다양한 KT 인프라를 활용해 전국 어디서나 더욱 정확하고 끊김 없이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4. 차량통신 빅데이터 기반 플랫폼 구축으로 ‘지능형 관제’ 실현

KT의 자율주행 플랫폼은 실시간으로 차량 위치나 센서 정보를 수집한 후, 관제서버에서 빅데이터를 분석해 상황을 예측하여 교통신호 제어를 하는 등의 지능형 관제가 가능하다.

특히, 전국 50여개 지역 엣지(Edge) 노드의 자율주행 플랫폼화를 진행할 경우, 중앙 집중형 시스템보다 반응속도가 더욱 빠른 초저지연 관제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 KT 5G 자율주행 플랫폼(5G as a Vehicle Platform)으로 개방형 생태계 구축

KT는 이러한 4대 핵심 기술을 토대로 차량의 안전운행과 편의성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5G 자율주행 플랫폼(5G as a Vehicle Platform)’을 개발한다. KT는 이 플랫폼을 개방형으로 구축, 다양한 서드파티를 참여시켜 관련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KT는 국내 최초 자율주행 실증단지인 경기도 성남 ‘판교제로시티’에서 다음달부터 5G 자율주행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5G와 LTE 기반의 자율주행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 자율주행 인프라에서는 교통신호와 보행자정보, 도로이벤트 정보, 차량과 셔틀 운행정보를 수집 및 공유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율주행차 지능형 관제가 이뤄질 수 있다.

이처럼 KT는 향후 서울시, 대구시, 제주시 등 다양한 지자체들의 C-ITS(협력 지능형 교통 시스템) 자율주행 실증 사업에 참여해 5G 자율주행 플랫폼의 핵심 기술을 검증할 예정이다. 또한 5G 기술이 자율주행 차에 조기 적용되도록 자동차 및 부품 제조사들과 협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전홍범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장 전무는 “KT는 자율주행에 5G를 연결함으로써 지금보다 자율주행 성능이 훨씬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앞으로 KT는 5G 기술 기반의 오픈형 자율주행 플랫폼을 완성해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다가올 자율주행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