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기업,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열다!

▲ 유재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산업제도연구실선임연구원

[컴퓨터월드] 기술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업들의 흥망성쇠 주기도 이에 비례해 빨라지고 있다. 창업 10년 미만의 기업이 시장의 패권을 차지하기도 하고, 영원할 것처럼 여겨졌던 세계적인 기업이 신생 기업의 먹잇감이 되기도 한다. ‘SW가 세상을 먹어치우고’, ‘모든 기업이 SW기업’으로 변신하는 디지털 전환의 격변기에 기업의 디지털 DNA를 강화시켜 1조 원 이상의 가치를 갖는 유니콘 기업이 된 스타트업들이 10여년 사이에 여러 국가에서 출현했다.

본지는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우리 기업들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각 분야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을 소개하는 난을 마련했다. ‘유니콘 기업으로 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이라는 주제의 유재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경영학 박사)의 글을 1년 동안 연재한다. 이번 강좌가 우리나라 유니콘 기업 탄생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편집자 주>
 

유재흥 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원 경영학 박사로 소프트웨어 산업 생태계, 혁신 기업 성장 전략, 신기술 확산 전략 등에 대해 연구활동을 해왔다. ‘제4차 산업혁명과 산업의 디지털 전환 연구’, ‘트럼프 정부 출범이 국내 SW 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보고서와 ‘실체 있는 제4차 산업혁명 : 사회현안해결형 공공SW사업으로!’ 등의 칼럼을 다수 게재했다.

1. 유니콘의 시대 : 유니콘 기업,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열다! (이번호)
2. DJI Innovation: 미국을 추월한 드론 산업의 선두 주자 (드론)
3. iCarbonX : 디지털 헬쓰케어, 중국의료를 혁신하다 (헬스케어)
4. Lu.com: 글로벌로 성장하는 중국 P2P 대출 기업 (핀테크)
5. Magic Leap : 가상시대를 열다! (VR/AR)
6. Palantir Technologies: 세상에서 가장 수상한 스타트업 (빅데이터/AI)
7. Unity Technologies: 게임산업의 엔진 (온라인 게임)
8. Flipkart : 인도의 아마존 (전자상거래)
9. SpaceX : 우주 여행 시대를 열 것인가 (항공우주)
10. WeWork : 오프라인 공간의 재탄생 (부동산)
11. 한국은 왜 유니콘이 나오지 못할까?


바야흐로 유니콘 기업의 시대다. 유니콘은 1조 원 이상의 기업 가치를 갖는 스타트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벤처 투자자 에일린 리(Aileen Lee)가 2013년 처음 사용한 용어다¹⁾. 이들 유니콘 기업은 불과 몇 년 사이(스타트업은 통상 창업 7년 이하)에 디지털 신시장의 패권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 2013년 유니콘 클럽/출처: TechCrunch, Welcome to the Unicorn Club by Aileen Lee(2013. 11)²⁾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기업인 우버(Uber)가 미국 최고의 자동차 기업인 GM을 시가 총액에서 앞지르고(680억 달러 vs 597억 달러), 호텔을 소유하지 않는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앤비(AirBnB)는 전세계 3,400여 개의 호텔체인을 보유하고 있는 메리어트의 시총을 추월했다³⁾.

인터넷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은 ’15년 7월 월마트(WalMart)의 시총을 앞지른 후 그 격차를 더 벌리고 있으며⁴⁾, 2010년 나스닥에 상장한 신생 전기자동차 기업인 테슬라(Tesla)의 주식 가치는 현대와 기아차의 시총을 합한 것보다 크다⁵⁾.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기술로 무장한 유니콘 기업들이 산업을 재편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마크 앤드리슨이 표현한 것처럼 ‘SW가 세상을 먹어치우고’, ‘모든 기업이 SW기업’으로 변신하는 디지털 전환의 격변기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기업마저도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디지털 DNA를 강화시키고 있다.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기업으로 변신

130년 전통의 제조업체 GE와 삼성전자⁶⁾마저도 각각 소프트웨어 기업과 데이터 기업으로 변신을 선언했다. 이들은 사람 그리고 사물간 초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해 가장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찾아내고 고객의 숨겨진 요구를 찾아내며 문제를 최적화 한다. 이들이 지향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은 보다 신속, 정확, 지능적인 최종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데이터의 수집 – 서비스 실행 – 데이터 수집의 반복 과정에서 점차 경쟁자들이 모방할 수 없는 진화된 서비스가 나타나고, 이는 플랫폼의 독점력으로 발전해 견고한 기업 경쟁력을 형성하게 된다.

우버, 에어비앤비, 위워크(Wework), 모바이크(Mobike)와 같은 글로벌 공유경제기업들은 비교적 단순한 웹기술만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누군가의 유휴자원(차량, 집, 사무공간, 자전거)을 그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값싸게 이용할 수 있게 연결해주는 온라인 중개 서비스라는 목표에 엄청난 기술이 필요했던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이용자들이 늘어나면 그들의 행동패턴이 저장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자원 배치, 동적 가격 설정, 맞춤형 프로모션이 가능하게 되며, 그것이 소위 플랫폼 경쟁력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이들은 종종 전통 사업자들과 갈등을 겪고 법과 제도의 규제를 받기도 하지만 소비자의 지지를 바탕으로 말 그대로 기존 산업의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이어가고 있다.

IBM의 인공지능 서비스인 ‘왓슨(Watson)’, 회수형 로케발사체인 스페이스X(SpaceX) 등 혁신 신기술을 통해 신서비스를 개척하는 기업들도 등장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암호화폐가 전대미문의 인기를 얻고 있고, 각종 송금, 대출, 클라우드 펀딩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뤄지는 핀테크 혁신이 진행 중이다.

농업에서는 세밀한 농작물의 생장 정보를 바탕으로 생장 속도와 품질을 조절하는 정밀 농업, 스마트 영농이 추진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오랜 기간 축적된 데이터와 지식을 활용해 비교할 수 있는 생산성과 경제성을 가져오고 있다.


앞서가는 미국, 추격하는 중국

현재 글로벌 유니콘 기업들의 절반이상은 미국 기업이며 그 뒤를 중국이 추격하고 있다.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두 국가, 하지만 정치체제나 문화적인 측면이 상당히 다른 이 두 나라가 글로벌 유니콘 기업들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국가라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또 다른 궁금증을 자아낸다. 특히 중국의 약진이 흥미롭다.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은 민간 중심의 자생적 스타트업 생태계를 통해 오늘날의 디지털 사회를 주도하는 대표 기업들을 배출해 냈다. 기업하기 좋은 창업 생태계, 인재와 자본이 충분하고 다양한 실험과 도전이 장려되고 실패가 자산이 되어 재도전할 수 있는 창업 환경은 오랫동안 우리를 포함한 세계의 모범이 되었다.

하지만, 미국의 실리콘밸리마저 벤치마킹을 시작했다는 중국 기업들의 성장은 놀랍다. 중국은 이미 50여 개가 넘는 글로벌 유니콘을 탄생시켰고 이 숫자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것도 특정 분야에 한정된 것이 아닌 헬스케어, 로보틱스, 인터넷 콘텐츠, 게임, 핀테크, 전자상거래, 스마트 모빌리티, 드론 등 다양한 분야에 포진되어 있다.

중국 유니콘 기업들의 현황을 좀 더 살펴보자. 글로벌 마케팅 조사기관인 CB인사이츠(2017. 12)에 따르면 전세계 222개의 유니콘 기업이 존재하고 이중 절반이 넘는 112개가 미국 기업이며 그 뒤를 중국이 59개, 영국이 13, 인도가 10개로 쫓고 있다. 독일이 3개 프랑스와 이스라엘 그리고 인도네시아가 2개로 우리나라와 같다. 일본은 메루카리(Mercari)라는 인터넷쇼핑 기업이 유일하게 작년에 유니콘 기업으로 편입됐다.

이 유니콘 기업들은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고 있는데 공유 경제 분야가 대표적이다. 실제로 우버(Uber)(680억 달러), 디디추싱(Didichuxing, 560억 달러), 리프트(Lyft, 115), 에어비앤비(293억 달러) 등 차량 숙박 공유 경제 플랫폼 기업이 유니콘 중에서도 시장 가치를 높게 받는 데카콘(deca-corn)⁷⁾ 기업으로 성장했다.
2016년 이후 편입된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의 대표 산업으로 일컬어지는 자율주행차, 핀테크, 헬스케어 등 디지털 신산업 분야에서 대거 출현하고 있다.

▲ 대표적인 데카콘(decacorn) 기업들 (2017.12)/ 출처: CB인사이츠

데카콘 기업에서의 미·중 격차는 줄어들고 있다. 데카콘 기업은 2013년 페이스북 하나에 불과했으나 ’17.12월 현재 16개가 있으며 이중 9개가 미국, 6개가 중국 기업으로 미·중이 독점하고 있다. 나머지 하나는 플립카트(Flipkart)로 인도의 전자상거래 기업이다.

시장 가치의 총계로 보았을 때 미국 데카콘 기업의 가치 총합이 2,026억 달러, 중국 1,715억 달러로 상대적 격차는 더 좁아진다. 흥미로운 사실은 미국의 기업들이 대체로 2011~13년에 진입한 기업들이 대다수라면 중국 기업들은 13~17년 이후 진입한 기업들로 최근의 추이는 중국 기업들의 성장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중국 데카콘이 탄생한 분야도 차량공유(디디추싱), 하드웨어 제조(샤오미), 드론(DJI), 핀테크(Lu.com), 전자상거래(차이나 인터넷 플러스), 인공지능 기반 인터넷 콘텐츠 플랫폼 (토우티아오) 등으로 다양하다.


한국, 두 개의 유니콘기업 존재

단기간 빠르게 글로벌 대표기업으로 성장한 이들 유니콘의 성장 비결은 무엇일까? 그리고 어떻게 지속가능한 경쟁모델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기술 패러다임이 급격히 바뀌고, 다양한 신기술이 등장하며, 소비자의 수요는 예측 불가능하고, 규제라는 제약 조건 속에서 어떻게 역동적인 성장이 가능했을까? 단순히 좋은 비즈니스 모델과 운으로서는 조 단위의 기업 가치를 만들 수도 없을뿐더러 수년간 지속하기는 더더욱 불가능하다.

디지털 경제분야에서의 미국의 지속적 경쟁우위, 그리고 무섭도록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저력, 심지어 인도, 인도네시아⁸⁾ 등 아시아 신흥국가에서의 유니콘의 출현은 정보통신강국이면서 제대로 된 글로벌 유니콘기업이 없는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두 개의 유니콘이 존재한다. 옐로모바일(2014.11월 편입, 40억 달러), 쿠팡(2014.5, 50억 달러)이 그들이지만 글로벌 기업으로서 두각은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라는 토양에서 유니콘이 탄생하지 못하는 이유를 인구 5천만의 작은 시장 규모, 스타트업에 친화적이지 못한 규제, 투자-회수 생태계의 부재, 기업가 정신의 부족, 양적 성장에만 치우친 창업 정책과 지나친 정부 개입 등을 이유로 꼽고 있다.

현실적으로 이러한 조건들이 단시일 내 바뀔 수는 없다. 하지만, 이스라엘이나 인도네시아에서의 유니콘의 탄생과 성장은 시장 조건이나 기술력이 전부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후 연재되는 글에서는 헬스케어, 가상현실, 전자상거래, 드론, 인공지능, 핀테크, 공유부동산 등 떠오르는 디지털 신시장을 주도하는 글로벌 유니콘 기업들의 사례를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이들이 추구하는 기술, 경쟁하는 시장, 그리고 제도라는 산업 생태계의 구성 요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성장하는지에 주목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도대체 우리는 어디서 어떻게 엇박자를 내고 있는지, 한국적 풍토에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글로벌 유니콘의 탄생과 성장은 가능한 것인지 답을 찾고자 한다.

1) 2003년 이후 십억 달러 이상의 기업 가치를 가지는 기업 39개를 찾아 유니콘 클럽(Unicorn Club)이라 지칭. 당시 소프트웨어 기업의 0.07%에 해당하는 수치
2) 원문보기, https://techcrunch.com/2013/11/02/welcome-to-the-unicorn-club/
3) 2015년 8월 현재 힐튼, 메리어트, 쉐라톤의 시가총액은 각각 232억 달러, 177억 달러, 119억 달러로 에어비앤비의 기업가치인 255억 달러에 하회(2015. 8월 현재), KB경영연구소, (2015. 9. 7)숙박공유 스타트업의 부상과 전통 호텔의 대응
4) 아마존이 월마트 추월한 건 2015년 7월 23일이며 ‘17.12.23일이며 당시 월마트 시총은 2,335억 달러였으며 ’17.12.23 현재 아마존 시총은 5,630억 달러, 월마트는 2,909.35억 달러로 그 간격이 더욱 벌어졌다
5) ‘17.12.23 현재 테슬라의 시총은 546.56억달러로, 현대기아(40조+13.2조)보다 크다. 2017년 4월 4일 테슬라의 시총이 미국 최고자동차 기업 GM을 역전한 바 있으나( (테슬라 529억 달러 vs GM 497억 달러) 현재는 근소하게 GM이 앞서고 있다
6) GE는 2015. 9월 Jeff Immelt 회장이 2020년까지 글로벌 Top 10 SW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 삼성전자는 2017년 10월 11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삼성CEO 서밋에서 손영권 삼성전자 사장이 “10년 전에는 전 세계 시가총액 1위부터 10위까지 엑손모빌, 로열더치셸, 페트롤차이나, GE, BP 같은 석유회사와 은행이 차지했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올해는 애플,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알리바바, 텐센트처럼 데이터를 만들고 관리하는 회사가 차지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삼성은 이제 데이터회사다”라고 선언
7) 데카콘: 10조 원 이상 (100억 달러 이상) 가치를 갖는 기업
8) 인도네이사의 트레블로카(Traveloka)는 20억 달러 평가를 받는 온라인예약플랫폼으로 2017. 7월에 편입, 고젝(Go-Jek)은 인도네시아의 18억 달러 평가를 받는 오토바이 기반 공유경제기업(라이딩, 배달, 배송, 세탁 등) 으로 2016. 8월에 편입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