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과 서비스 질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업체의 참여가 절실

KOLAS2(표준자료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설치 및 유지보수에 대해 다양한 업체의 참여와 더불어, KOLAS2에 대한 대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KOLAS2는 1992년부터 공공도서관의 열악한 정보화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개발한 표준도서관리시스템이다. 초기에는 DOS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에 무상 배포됐으나, 정보기술의 발전이 급속화됨에 따라 DOS 기반에서 윈도우 기반의 C/S 구조로 재개발돼 현재까지 460개의 공공도서관 및 정부기관 자료실에 유상으로 보급돼 있다.

현재 KOLAS2에 대한 개발과 설치 및 유지보수는 한 업체에서 담당하고 있다. 반면 정부의 예산으로 개발된 도서관리시스템인 LIMS, KORSA-ASP, DLS 등의 설치 및 유지보수는 다양한 도서관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제공하고 있어 대비되고 있다. LIMS는 국회도서관의 전산실이 개발한 프로그램이며, KORSA-ASP는 도서관의 업무수행 및 이용자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기능을 구현한 웹버젼 도서관리 프로그램으로, 광주과학기술원에서 개발해 배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개발업체가 관련 입찰에 참여하면 당연히 그 프로그램에 대해 잘 알기 때문에 최종낙찰자로 선정될 가능성은 높다"고 말했다.

이렇게 KOLAS2 개발과 실치 및 유지보수가 한 업체가 담당하는 이유는 KOLAS2 관련 모든 입찰이 공개경쟁으로 이뤄지나, 입찰에 참가하는 업체가 없기 때문이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KOLAS2 관련 모든 소스를 오픈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해도 업체들이 입찰에 들어오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반면 S/W 업체들의 입장은 이렇다. KOLAS2의 원 소스코드를 100% 오픈할 수 있으면 어느 정도의 시간은 걸리겠지만 분석을 통해 충분히 설치나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등의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입찰이 이뤄지면서 KOLAS2에 대한 소스를 오픈하는 것 보다, 그 이전에 KOLAS2의 소스들을 100% 오픈하고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오픈된 소스를 연구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주고, 그 이후에 입찰을 진행할 것을 주문했다.

KOLAS2의 설치와 유지보수 등 관련 업무를 한 업체에서 진행하다보니 업계에서는 KOLAS2의 기능과 공공도서관에 대한 서비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현재 KOLAS2 개발업체는 30여명의 유지보수 인력을 두고 있는데, 460여개의 사이트를 하나의 업체가 담당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도서관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KOLAS2의 기능과 서비스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일부 공공도서관은 KOLAS2나 RFID 장비의 실질적인 기능 검토없이 대다수 공공도서관이 사용하기 때문에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공무원 집단의 직업적인 정서도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업체 관계자는 "고인 물은 썪는다는 옛말이 있듯이 품질과 서비스의 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품을 통한 경쟁구도가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일부 공공도서관에서 KOLAS2를 사용하다가 시스템을 걷어내고 다른 도서관리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경우가 속속 발생하고 있다.

한편 국립중앙도서관은 최근 '2007년 KOLAS3 신규개발 및 국립중앙도서관 정보시스템 확장 및 개선사업'을 제안요청해 놓은 상태다. 이 사업 규모는 2.46억 원으로 기존의 KOLAS2 기능을 50~60% 승계하고, 유니코드 기반의 다국어 시스템 체계 지원과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 체계로 변환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 사업 역시 어느 업체가 수주할지 주목할만하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