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테스팅협의회, TTA, KTL, 상용SW협회 등

 

[아이티데일리] 소프트웨어(SW)품질인증 제도인 ‘GS인증 고도화’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 업계 또한 관심이 높다. 국산SW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현 GS인증 제도를 한 단계 더 끌어올려야한다는 것이다.

지난 8일 관련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한국소프트웨어테스팅협의회, GS인증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상용소프트웨어협회 등의 관련 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GS인증 고도화’에 대해 열띤 논의를 벌였다.

이날 논의는 박진호 숭실대학교 교수의 주재로 진행됐다. 박 교수는 “현 GS인증제도는 SW산업진흥법 제 13조에 의거해 도입된 SW 품질인증 제도로, 현재 기타공공기관인 KTL과 법정 민간기관인 TTA가 인증 및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며, “GS인증제도의 확산으로 국산 SW의 품질이 향상됐지만, 현재는 통과의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수출이나 실질적 판로 개척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GS인증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GS 인증의 고도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박 교수는 설명했다.

이어 미래창조과학부 박재수 사무관은 “오늘 회의는 해결책을 찾자는 것이 아닌,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추가적인 회의를 계속 진행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GS인증 고도화에 대한 본격적 논의에 앞서 해당 기관인 TTA와 KTL 관계자가 GS 인증의 현 상황 및 방향 등에 대해 발표했다.

TTA 김현정 팀장은 ISO/IEC 25000 시리즈 개정안을 예로 들며 GS인증도 이에 맞춰 변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SW의 해외 진출을 위해서 GS인증이 도울 수 있는 것은 ‘제품 현지화와 품질 제고’라며, ‘국제화’와 ‘현지화’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국제화와 현지화 프로세스를 인증에 포함시켜 향후 해외 진출의 비용과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KTL 조원준 센터장은 GS 인증의 현황과 인증 절차에 대해 설명한 후, KTL측의 고도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고도화 방안으로는 ▲GS 인증의 인증분야를 명시하지 않아야 하고 ▲별도 민간 평가기관을 지정해야 하며 ▲GS인증의 유효기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진행된 토의에서는 이날 자리에 참석한 각 회원사 대표들이 각자의 입장에서 GS인증의 문제점과 고도화 방안을 제시했다. 업체들은 GS인증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통과의례에 가깝고 ▲해외 진출에 도움도 되지 않으며 ▲시험평가기간이 너무 길고 ▲유지보수 등의 평가도 어렵다는 것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또한 개선안에 대해서는 ▲테스팅 생태계를 구축하고 ▲인증이 아닌 성능 확보가 중요하며 ▲GS 체계의 변화가 필요하다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메타빌드 차영일 부사장은 “시험기관의 민간 확대라는 안은 상당히 고무적이지만, 고도화에 대한 의문이 많이 든다. 기존 GS인증과 고도화된 GS인증이 차이성이 있는지 궁금하다. 만일 차이성 없다면 그 또한 큰 변별력 없지 않는가. 국제화나 현지화, ISO 25000시리즈 등 인증 내용을 확대하겠다는 것은 업체 입장에서 다른 명목으로 인증비용을 받겠다는 의미는 아닌지 걱정된다. 특히 KTL의 GS 인증 유효기간 제정안은 비용부담이 생긴다”며 우려를 표했다.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어세룡 대표는 “GS인증이 통과의례란 느낌을 많이 받았다”며, “형식절차에 의해서 ISO 기준으로 품질을 높이는 데는 기여했다. 하지만 그 외에 제대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고 있고, 지속적인 품질확보 신뢰성 등도 전제되지 못하고 있다. GS인증을 받아야 정부를 상대로 판매가 가능하니 인증을 받는 것일 뿐, 인증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몇백만 원 내고 인증을 따 내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판단은 시장에 맡겨야 한다. 제대로 된 제품이라면 인증을 받지 않아도 잘 팔리기 마련이다. 오랫동안 사용 가능한지는 인증기관이 아닌 사용자가 결정할 것”이라는 쓴 소리도 했다.

데이터스트림즈 박시영 상무는 “GS인증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외산 소프트웨어와 경쟁할 때 많은 도움을 받았다”며, “하지만 거꾸로 해외에 나갈 때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수출하려면 넘어야할 부분이 많다. 글로벌 나름의 표준이 분명히 있는데 그걸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TTA 김현정 팀장은 이에 대해 해외 진출 시 상호인증의 어려움을 강조했다. “선진국의 경우 인증에 관심이 없다. 민간이든 국가든 인증체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애초에 인증으로 제품을 사는 문화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발도상국에는 우리가 기술이전을 했다. 대표적인 것이 말레이시아이다. 하지만 현재, 혜택이 너무 커서 상호인증을 하면 시장을 뺏길 수 있다. 따라서 상호인증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표준화 활동에 대해서도 “다른 나라들은 국제표준화 활동에 별 반응 없다. 의지도 없다. 국제인증을 왜 하느냐는 분위기다. 방법을 강구하고 있지만 고민이 많다”고 설명했다.

소프트웨어테스팅포럼 조경휘 회장은 “고도화에 대한 부분이 지나치게 제품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며, “세숫대야를 예로 들면, 빨간 대야와 파란 대야 사이에서 고민하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아예 대야를 쓰지 않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품 완성 단계에서 세숫대야를 바가지로 바꾸는 것은 굉장히 많은 비용적 손실”이라며, “프로세스로 도움을 줘야 한다. 현지화라는 것은 현지의 요구사항을 먼저 파악해야 가능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에스티에이테스팅컨설팅 이정우 수석은 “GS인증 자체가 기업 필요 요소를 담고 있어야 하는데 조금 형식적인 것 같다”며, “ISO는 직접 인증을 하지 않는다. 인증서를 주는 것은 모두 민간기업이다. 그럼에도 인증 받으려고 하는 회사들이 줄을 서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GS인증이 회사가 수출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권위를 가져야 한다. 권위를 가질 수 없다면 국제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박재수 사무관은 “현재 GS와 고도화된 GS차별을 어떻게 둘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현재 GS인증 글로벌로 나가기에 품질 적으로 미약하다는 의견이 많다. 여러 의견 나오면 종합해서 결정할 것”이라며, “GS인증을 받은 후 수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찾고자 한다. 추가적인 회의를 계속 진행해 많은 이야기를 듣고, 제도개선과 예산 등 좋은 결과로 보답하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GS인증과 관련, 그 필요성 및 보완에 대한 의견은 상당히 엇갈렸다. ▲왜 인증을 받아야만 하는지 ▲비용도 비싸고 인증기간도 너무 길며 ▲인증 받은 제품을 고객들이 믿고 사용할 만한 품질인지 등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경향이 짙었다. 국산 SW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보다 더 철저한 준비로 품질을 높여야만 한다는 게 관련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