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정부 예산·정확한 데이터 및 산업 모델 부재 등 해결과제 산적

국내 RFID 시장 규모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가 없어 업체들이 향후 사업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RFID 시장의 장래가 뚜렷한 근거 없이 장밋빛으로 전망되면서 여러 문제가 생기고 있어 향후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장규모 정확한 자료 없어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RFID 시장 규모는 수백원대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무려 8천억원에 이른다는 분석 자료도 나와 있다. LG산전 RFID사업부의 정주환 부장은 "RFID 시장규모에 관한 의견은 업체마다 시각이 다양하다"면서 "2006년을 기준으로 1천억원 규모에서 5천억원 규모까지 편차가 심하다"고 설명한다.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이 발표한 'IT839 전략 기술 개발 마스터 플랜'에 따르면 국내 RFID 시장 규모는 올해 8억 3천만달러 규모에서 2010년에는 38억 9천만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하지만 900MHz 태그 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한맥ENG의 최정곤 사장은 국내 시장규모는 올해 수백억원, 내년에는 1,5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RFID코리아의 백인권 사장 역시 "RFID 시장은 향후 2~3년안에 본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이상적인 생각에 불과하다"고 얘기한다. 국내 RFID 시장에 관한 전망이 매우 부풀려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관련 업계에서는 "RFID 시장의 수요는 적은데 공급업체만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나 시장 질서가 매우 어지러운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면서 불명확한 시장 전망 자료가 적지 않은 부작용을 낳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단적인 예로 한국의 RFID 기업 시장이 3년 사이 4배로 증가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국RFID/USN협회에 따르면 RFID/USN 관련 협회에 가입한 국내 기업 숫자는 2004년 48개사에서 2006년 6월 현재 237개로 늘어났다. 이들 업체에 종사하는 인력도 61만 4000여명으로 연평균 122%나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RFID 시장의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니다. 현재 국내 RFID 시장의 수요를 주도하고 있는 정부의 사업 예산이 턱없이 낮아 이 사업에 참여한 업체들은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손해를 감수하면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점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정부 시범사업 턱없이 낮은 예산

국책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한 업체의 관계자는 "수주금액이 비현실적"이라며, 그 근거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사업에 설치비 등의 인건비는 빠져있는 점을 거론한다. RFID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장비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설치환경에 따른 각도 및 출력 조정 등이 필요한데 그에 대한 보상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측은 "어느 기업에 수익을 보장하는 것 보다는 예산의 범위 안에서 더 많은 사업을 발굴하여 RFID 시장을 안정적으로 조기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가 RFID/USN과 관련하여 시장을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업계는 국내의 까다로운 승인 절차로 시장에 대한 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RFID 전문 벤더 관계자는 "국내의 까다로운 전파법과 관련하여 시장 진입에 2달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RFID 관련 전파와 관련하여 908.9~914Mhz 로 정해졌지만, 이를 위해 외산 솔루션의 경우 출력 와트 등의 조정과 테스트 등의 별도 단계가 필요해 시장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

특히 국내 승인 절차와 관련하여 도면부터 회로에 대한 설명 등 제품에 대한 기술 등을 상세하게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도 국내 시장에 대한 진입을 어렵게 만든다는 게 외산 업체들의 주장이다.
외산 벤더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하게 RFID 시장에 모두 관심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만의 까다로운 규준들은 경쟁력 있는 글로벌 벤더의 국내 진출을 꺼리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내 RFID 시장은 2008년에야 본격적으로 형성될 전망이다. 하지만 보안, 태그 가격, 특허, 바코드의 대체 가능성 여부 등의 문제가 풀리지 않는다면 그 시기는 계속 지연될 공산이 크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