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인원 부족, 신기술 교육 등 해결 과제 산적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ITA법)’이 지난 해 말에 통과됨에 따라 앞으로 5억원 이상의 공공 프로젝트는 의무적으로 감리를 받게 됐다. 이같은 정부 사업의 감리 의무화에 따라 앞으로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은 품질 확보라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를 놓고 후속 작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7월부터 감리 의무시행을 앞두고 이런 지적이 제기되자 올 한해동안 유예기간을 두었지만, 과연 앞으로 어떻게 부족한 감리인원을 양성할 것인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전산원은 올해 감리사 선발을 예년보다 두 배 규모인 80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감리 인원 육성 등 후속 작업 부족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감리 전문 법인은 20여개 정도로 이중 3~4개의 법인이 국내 감리 활동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한국정보시스템공인감리단, 한국IT감리컨설팅, 한국전산감리원, 씨에이에스 등이다.
하지만 이들 업체들도 감리인원의 부족과 현재의 낮은 처우 등의 문제를 들어 “시장만 키워 놓을 뿐 별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한다. 또 감리 시장의 확대로 감리 전문 인력이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감리원은 특급 대우를 받고 있어 현재의 낮은 감리비로는 영입이 어렵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감리원의 경우 시스템을 분석할 수 있는 수준의 경력과 기술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우수 인력의 확보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특히 유비쿼터스와 RFID 등 신기술에 대한 재교육과 고가의 전문 감리 도구를 도입하는 등 확대되는 감리 시장에 대비해 준비해야할 사안들이 한두가지가 아니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준비를 갖추지 않은채 무작정 나섰다가는 오히려 고객의 반발을 불러 일으켜 외면받을 수 있으며, 이는 ‘감리 거품론’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게 관련 업계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감리 의무화에 앞서 프로젝트 현장의 PM(project manager)의 육성이 오히려 더욱 시급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현재 국내 정보시스템 프로젝트는 PM (project manager)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마당에 감리를 강화한다고 해서 프로젝트의 품질의 높아지겠느냐는 것이 그 주장의 요체이다.
개발감리에 타깃이 맞춰져 있으며, 향후 운영 관리는 소홀히 하는 현실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 감리는 크게 개발감리와 운영감리로 나뉜다. 개발감리의 경우 새로 구축하는 시스템에대한 감리를, 운영감리는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 감리이다.

개발감리에만 초점, 운영감리는 뒷전
이우용 대표는 “운영감리는 사람 몸에 비유할 때 건강검진과 같은 것이다. 검사를 통해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수정 보완해야 할 뿐 아니라, 계속 새로운 장비를 구축하는 것보다는 기존 시스템의 재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감리법인도 지금의 공공시장 중심의 감리에서 탈피해 특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감리 시장은 금융과 공공시장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특히 금융시장의 감리 경우 외국법인이 독점하고 있다. 국내 감리 법인들이 이들 외국 법인과 경쟁을 위해서는 지금처럼 저가 경쟁이 아닌 재교육과 감리도구의 도입 등으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앞으로 탁상논리가 아닌 현실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최은주 기자 ejchoi@rfidjournalkorea.com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