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간 연평균 21% 하락해 2017년 9,868억원 규모 전망



[아이티데일리] 지난해 국내 LTE 장비 시장은 LTE 전국망 구축이 완료되면서 전년 대비 40%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국내 LTE 장비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21% 하락하며 장기 침체가 계속될 전망이다.

한국IDC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LTE 장비시장 전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12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국내 LTE 장비 시장은 LTE 서비스 전국망 구축이 완료되면서 통신사업자의 시설설비투자(CAPEX) 감소로 이어져 전년대비 40% 하락한 1조 8587억원 규모로 조사됐다. 이같은 감소 추세는 향후 5년간 지속되면서 연평균 21%로 하락해 오는 2017년 국내 LTE 장비 시장은 9868억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또 지난해 말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묶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CA 기술을 포함한 LTE-A 인프라 확장이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 인프라에 대한 증설, 혹은 보다 유연한 소프트웨어적인 구현 중심으로 투자가 진행되면서 당분간 CAPEX의 성장은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김민철 한국IDC 선임연구원은 “CDMA 서비스 상용화 이후 WCDMA 서비스 상용화까지는 10여년이 걸렸하지만 LTE 서비스 상용화까지 5년, LTE-A는 2년밖에 걸리지 않는 등 장비구축 기간도 단축되고 있다”며 “장비 공급 벤더 입장에서 LTE를 포함한 이동통신 산업이 더 이상 안정적인 고정 수입원이 될 수 없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무선통신과 관련된 장비투자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김민철 연구원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의 5G 최초 시범 운영 계획에 이어 2020년 통신사업자의 5G 상용화 계획과 기존 LTE, LTE-A 인프라의 라이프사이클이 맞물리면서 장기적으로는 통신사업자의 대규모 투자 활성화가 다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영소 한국IDC 선임 연구원은 “LTE 서비스가 상용화되기 시작한지 2년 만인 2013년 3분기 4G LTE 서비스 가입자가 전체 스마트폰의 70%를 차지하게 됐다”며 “이에 따라 LTE서비스를 통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역시 69.7%의 비중을 나타내면서 핵심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가 LTE임을 다시 한번 증명해 주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전체 무선데이터 트래픽은 2013년 3분기 기준 80PT(Peta Byte)로 전년 동기대비 67.5%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