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발표 실종, 관련 업계 위축 및 줄도산 우려 제기

교육과학기술부의 쿨링오프제, 여성가족부의 셧다운제, 문화체육관광부의 선택적 셧다운제와 게임아이템 거래 규제 등 난립하고 있는 게임규제 후폭풍에 국내 게임 산업은 물론 관련 산업이 위축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 같은 정부의 게임규제를 끌어낸 이면에는 여성, 보건, 교육, 종교 등 여러 시민단체들이 있으며 정부는 이들 단체 구성원들의 지지를 이끌어내어 다가 올 선거에서 표심을 결집시킬 목적으로 언론과 방송을 총동원한 여론몰이에 나섰다는 추론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

정부의 게임규제 후폭풍

게임 산업 기둥 뿌리째 흔들리나?

최근 정부의 잇단 게임규제 강화로 인해 게임 산업이 크게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선 투자자들과 대형 퍼블리셔가 각종 규제로 인해 성공 가능성이 낮고 위험 부담이 커진 게임 사업에 투자하는 것을 꺼리게 되면서 신작 발표가 눈에 띄게 줄었다.

실제 매년 초 마다 게임업계 최대의 성수기인 겨울방학 시장을 노린 대형 신작이 등장하곤 했으나 공교롭게 올해만 대형 신작이 없었다.

대신 충분한 유저층을 확보하고 있는 기존 게임에 마케팅 역량을 집중하는 모습이었으나 그 마저도 마케팅 규모를 작년에 비해 크게 축소했다. 겨울방학 기간 중에는 전문 미디어를 대상으로 업데이트 발표회 등이 많았으나 올해는 거의 실종되다시피 한 상황이다.

퍼블리싱 또는 투자자 유치를 위한 신작 발표회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1월부터 국내 게임업계는 정부의 규제 위협에 잔뜩 몸을 움츠리고 긴축 재정으로 돌입했다. 이로 인해 게임 관련 산업과 파생 산업까지 모두 올해를 중대한 기로로 판단하고 있다.

관련 산업으로는 PC방 업계와 PC 하드웨어 업계가 대표적이다. 국내 게임 산업이 위축되면 두 산업 역시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다. 이는 대규모 실직 사태와 도산으로 이어지며 국가 경쟁력 실추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신작발표 실종에 마케팅 규모도 축소

관련 산업 줄도산 우려도 제기돼

더욱 큰 문제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기획력으로 승부하는 중소 개발사 상당수가 이미 도산했거나 잠정적으로 사업을 포기하면서 국내 게임업계의 성장 동력인 개발력마저 실종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 자금력이 있는 몇몇 대형 게임사는 내부 개발인력을 슬림화 하거나 다른 플랫폼으로 재편성 시키는 방법을 동원해 개발력을 확보하고 경쟁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실제 온라인게임을 개발하려다 최근 사업을 중단한 한 개발사 대표는 "올해 게임업계 전망이 너무 불투명해 개발은 포기하고 일단 회사에 취직해 일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와 같은 분위기에서는 아무리 좋은 게임을 만들어도 서비스는커녕 투자도 못 받을 가능성이 크다. 내년 이후에나 분위기를 보고 개발 여부를 판단하려고 한다"고 전했다.

이에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내내 규제 스트레스는 안고 가야 할 것 같은데 벌써부터 게임 산업의 초석이 크게 흔들린다니 걱정이 앞선다"며 "지금보다 더 심한 규제가 나올 것 같지는 않지만 일단 이번 규제가 어떻게 실행되는지가 관건인 것 같다"고 전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쿨링오프제, 여성가족부의 셧다운제, 문화체육관광부의 선택적 셧다운제와 게임아이템 거래 규제 등 난립하고 있는 게임규제 후폭풍에 국내 게임산업은 물론 관련 산업위축이 국가 경쟁력에 어떤 부정적영향을 끼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하 상세 내용은 컴퓨터월드 3월 호 참조>

※본 게임 기사는 본지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게임 전문지인'IT 매일'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