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통합센터 정보보호체계 강화 사업, 행안부 본인인증수단 강화 사업 등

올해 상반기 200~300억 이상 규모의 굵직굵직한 공공분야 보안 사업들이 대거 진행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보안SI 사업 강화에 나선 보안 업체들과 중견·중소 SI업체들은 이들 공공 보안 사업을 예의주시하며 물밑 작전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대표적인 공공 보안 사업을 살펴 보면 40억 이상 규모의 정부통합전산센터 정보보호체계 강화 사업(네트워크보안 솔루션 중심의 노후장비 교체 및 보안SW 도입), 23억 규모의 안시스(ANSIS) 2차 구축 사업(정보시스템 접근통제와 내부정보유출방지가 핵심), 20억 규모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정부 자원통합 1차 사업 등이다.

또한 20억 이상 규모의 행안부 본인인증수단 강화 시범사업, 10억 이상 규모의 서울시 데이터센터 보안강화 사업(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 접근통제 및 감사가 핵심) 등도 상반기에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16개 시·도청이 앞서 구축해 놓은 사이버 침해대응센터의 위탁운영 사업들이 올해 속속 추진될 예정이다. 공공 분야의 보안관제 사업 규모만 100억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분야 시장에 주력하고 있는 업체들은 13억 규모의 서울시 보안 관제센터 위탁운영 사업을 비롯해 8억 규모의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사이버 침해대응센터 위탁운영 사업, 15억 규모의 중앙선관위 통합관제센터 운영사업 등이 나오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이처럼 최근 SI 형태의 대규모 보안사업 증가는 단품 중심의 보안솔루션 시장이 아닌, 보안서비스 시장의 확대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대형보안사고 및 개인정보보호법 등 컴플라이언스 이슈가 커짐에 따라 최근 고객들은 이에 대해 전 방위적으로 대응 가능한 종합적인 보안관리 체계를 설계하고 구축해주길 원하고 있는 것.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통해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전문적인 보안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딜로이트 조사에 따르면 보안시장을 솔루션 시장과 서비스시장으로 크게 나누어 볼 때 글로벌시장의 경우 비중이 약 50(솔루션) : 50(서비스)인데 반해, 국내 시장은 아직 80(솔루션) : 20(서비스)이다. 그러나 앞으로 국내 시장 역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이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보안 업체들이 보안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SI사업에 적극 진출하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라 할 수 있다.

<상세 내용은 컴퓨터월드 3월호 참조>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