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부한 분석자원과 분석모델 제공으로 사용자별 맞춤형 분석 가능
모든 공공기관 활용 가능한 분석환경 마련, 데이터분석 활성화 기대

[아이티데일리] 모든 부처와 공공기관이 별도의 분석시스템 구축 없이도 다양한 데이터분석 자원과 환경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분석 지원 서비스가 새롭게 시작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9월부터 추진해 온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개발 1단계 사업을 마치고, 17일부터 전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각 기관별 일상적 데이터분석과 활용 환경이 마련됨에 따라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정책수립과 의사결정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 정부는 2014년도에 구축된 ‘혜안’ 시스템(빅데이터 공통기반 시스템)을 활용해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데이터분석 업무를 지원해왔다. 그러나 하드웨어의 약 70%가 수명 연한이 지나 장애 발생 가능성이 컸고, 제한적인 분석자원 및 기능상의 한계로 분석 시행과 결과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행정 업무망 중심의 서비스로 공공기관 사용자들의 접근과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것도 문제로 지적됐었다.

이번에 개설되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기존 ‘혜안’ 시스템 서비스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통합해 행정 업무망 중심의 기존 서비스를 인터넷망까지 확대했다. 이에 따라 중앙부처와 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중앙부처 및 자치단체 산하기관, 각종 연구기관, 공사· 공단 등을 포함하는 공공부문 전 기관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인 만큼 개별 기관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더라도 별도 비용 없이 고성능의 분석자원을 개인 및 기관별로 할당받아 안정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메인화면 이미지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메인화면 이미지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분석 도구와 풍부한 분석모델 제공 등을 통해 일반 사용자부터 데이터분석 전문가까지 맞춤형 분석이 가능한 것도 새로운 서비스의 특징 중 하나다.

데이터분석에 널리 활용되는 분석언어인 ‘알(R)’, ‘파이썬(Python)’은 물론, 그래픽 사용자 기반(GUI: Graphic User Interface) 제공을 통해 별도의 코딩 과정 없이도 손쉽게 분석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했다. 공공시설입지분석, 교통 및 화재취약지역분석, 도시상권변화분석 등 현장 활용성이 높은 기존 분석모델도 표준화시켜 제공함으로써 기관별 유사모델 개발에 따른 예산 및 소요 기간도 절감할 수 있도록 했다.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120만건 가량의 데이터도 통합검색해 분석에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하고 완성도 높은 데이터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새로운 시스템은 행정·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주요 데이터플랫폼과도 연계돼 있어 데이터의 위치와 내용을 통합 검색하고,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정제-활용할 수 있다.

서비스 개시 시점 기준 공공데이터포털(행정안전부), 헬스케어빅데이터플랫폼(국립암센터), 통신빅데이터플랫폼(KT), 교통빅데이터플랫폼(교통연구원) 등 20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에 접근·활용이 가능하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서비스 개시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지속적인 고도화와 분석자원 제공 범위 확대를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데이터분석에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 보다 손쉽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오토ML(AutoML) 등 다양한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를 발굴하고 제공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행정안전부 정선용 정부혁신조직실장은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모든 데이터로 연결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토대에 해당한다”고 강조하면서 “서비스 및 분석자원의 수준을 지속해서 높이고 다양한 역량개선 프로그램과도 연계시켜 우리 정부의 데이터기반 행정역량을 실질적으로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