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 아웃소싱(EO)의 공급분석 및 시사점

지난 1부에서는 엔지니어링 아웃소싱(Engineering Outsourcing, EO)의 개념과 전략적 중요성 등을 중심으로 정확한 개념을 전달하고 이해를 돕는데 초점을 두었다. 2부에서는 EO의 수요측면에 초점을 맞춰 시장규모 및 전망, 수요특성 등을 집중 분석했다. 마지막 3부에서는 국가별 EO경쟁력 현황, 글로벌 주요기업의 공급역량 및 성공사례 등을 중심으로 EO의 공급측면을 집중 분석해보고, 국내 SW산업에 주는 시사점 도출에 대해 집중 살펴본다. 그 동안 관심을 가져 준 '컴퓨터 월드' 애독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연재순서


▲ 홍상균 수석(한국 소프트웨어 진흥원)



1회. EO 등장배경, 개념 및 특성 등 총론 중심
1. EO등장배경
2. EO란 무엇인가?
3. EO 특성
4. EO가 국내 SW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전략적 중요성)

2회. 수요측면 분석
1. EO 시장규모 및 전망
2. 수요시장 특징 : 글로벌 30대 수요기업 조사결과

3회. 공급측면 분석 및 시사점 도출
1. 국가 경쟁력 분석 및 평가
2. 해외 사례 : 인도
3. 국내 사례 : 삼성SDS
4. 국내 SW산업에 주는 시사점






1. 국가별 EO 경쟁력 분석
World investment, UN Developing Countries Report 등의 기초자료를 토대로 Booz Allen(2006)이 평가한 국가 경쟁력 분석결과, 중국이 1위를 기록하였고 이스라엘, 말레이시아, 인도 순으로 평가되었다. 개별 기업의 경쟁력 수준으로 보면 4위를 기록한 인도가 최고의 공급역량을 지닌 것으로 일반적으로 평가되지만, 본 조사의 평가항목은 시장크기, 인력규모, 인프라 수준 등 개별 국가의 요소별 역량을 평가기준으로 삼고 있어 국가 전체적인 경쟁력 순위는 중국이 인도를 앞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국가별 EO 경쟁력 현황

▲ 국가별 EO 경쟁력 현황


중국은 10개의 경쟁력 평가요소에서 대체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은 거대 수요시장, 방대한 제조기반 산업, 저렴한 인건비 등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즉, 거대 국가로서 가지는 다양한 비교우위 요소에 의해 가장 경쟁력 높은 국가로 평가되었다. 특히, 산업별로 얼마나 풍부한 엔지니어 인력풀을 보유하고 있는가도 경쟁력 평가의 중요한 잣대로 작용하는데 중국의 거대한 제조 산업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The Wall Street Journal(2004)은 중국의 대학졸업 엔지니어 수가 인도의 1.5배, 미국의 3.2배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하였는데 이러한 자료도 중국 제조 산업의 잠재성을 나타내고 있는 또 하나의 사실로 간주할 수 있다.

이스라엘은 교육수준 및 문화적 조화성, 물리적 인프라 측면에서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방위산업과 같은 특수한 내수시장 및 많은 관련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강점이라 할 수 있다.
인도는 협소한 내수시장, 열악한 인프라 환경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하지만, 노동력 측면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영어가 가능한 고숙련 노동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중국으로서는 쉽게 극복할 수 없는 인도만의 강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건비 측면에서는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라 할지라도 타 경쟁국에 비해 높은 수준은 아니며 인력규모 면에서는 최고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 10대 경쟁요소별 상대평가 결과

▲ 10대 경쟁요소별 상대평가 결과


2. 해외 사례 : 인도
1) 국가전략 및 시장현황

국가 잠재력을 반영했을 때 중국이 1위라 할지라도 현재 EO 공급역량만을 가지고 평가한다면 인도가 엔지니어링 아웃소싱시장에서 대표적인 국가로 볼 수 있다. 인도는 범국가 차원에서 'Designed in India'라는 브랜드화 전략을 추진 중에 있으며 과거의 전통적인 IT서비스 제공 수준을 넘어 다양한 산업영역에서 제품개발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도는 과거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로 인한 가격경쟁력이 주요 경쟁요소 였으나, 점차 임금상승으로 가격 경쟁요소가 약화되어 감에 따라 EO를 ITO/BPO에 이은 새로운 전략 분야로 주목하고 있다.

2020년까지 세계시장 점유율 30%를 목표로 설정하고,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5-7개 도시 구축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엔지니어링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대표적인 IT서비스 기업인 TCS, Satyam, Wipro 등이 전통적인 IT서비스 영역을 넘어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시장 개척을 적극 모색하면서 EO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포레스터(2006)에 따르면 인도 SW산업 총 수출액 중 엔지니어링 아웃소싱(EO)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미미하지만 성장률은 36%에 달하는 등 전통적인 IT서비스 성장률(28%)을 상회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분야의 수출액 증가는'01년 3억 달러에서 '05년 31억 달러로 5년 새 10배나 급증하였다.

▲ 인도의 EO 서비스 현황 및 성장성

▲ 인도의 EO 서비스 현황 및 성장성


2) 주요 EO서비스 기업현황
지금부터는 인도의 대표적인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기업인 Wipro, TCS, Satyam 3사를 중심으로 매출실적, 사업전략, 주력분야, 경쟁요소 등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

위프로(Wipro)는 인도 기업 중 EO 관련 매출액 및 인력규모가 가장 크다. 실제 120개가 넘는 산업별 고객사들은 반도체, 자동차, 가전, 의료장비 등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위프로의 EO매출액은'06년 6억 달러에서 '07년 7.8억 달러로 30%나 급성장하였으며 최근 4-5년간 30% 안팎의 성장률을 꾸준히 유지해오고 있으며, 인력규모면에서도 07년 EO부문에서만 18,000명의 인력을 보유하고 있어 EO부문에 있어 인도 최대의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기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외부의 엔지니어링 파트너사에게 R&D 부문을 오픈하여 공동 협력하는 '확장형 엔지니어링(extended engineering)'서비스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칩 설계 및 개발서비스 부분, 즉 VLSI 설계 및 산업별로 특화된 SoC 설계 부문에서는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TCS는 2007년 말 기준, 글로벌 순위 28위를 기록하고 있는 인도 최대의 IT서비스 기업이다.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매출액은 5억 1,500만 달러로 전체 매출액의 9%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28.8%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TCS도 다양한 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특히 산업별 대비 45%를 차지하고 있는 통신 부문의 실적이 탁월하다. SW품질에 대한 공신력 확보를 위해 인증(certification)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항공 분야에서는'AS9100RevB', 의료장비 분야에서는'ISO13845:2003', 통신 분야에서는 CCNA,CCNP, CCIE 등 다수의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새티암(Satyam)은 EO 매출규모는 작지만, 항공·국방, 자동차, 정보기기, 통신 및 반도체 등 제조 전반에 걸쳐 고른 매출을올리고 있다. 새티암의 경쟁력은 제품설계(product design), CAE 등 공학적 설계(engineering design) 부문에 있어서는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분석된다.

3) 사례분석
인도의 대표적인 EO 서비스 기업인 Wipro를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된 성공사례를 분석해보기로 한다. 첫째,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의 적용사례이다. Wipro는 전자분야 특히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분야에 뛰어난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VLSI 설계 및 산업별로 특화된 SoC 설계 부분에 있어 특별한 수행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유무선통신, 미디어, 네트워킹 관련 재사용 가능한 설계 컴포넌트들로 풍부하게 구성된 IP 포트폴리오에 의해 가능하며 개발시간 단축과 비용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VLSI 설계 역량을 활용하여 2005년 미국의 게임장비 제조사와의 협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고객사의 아키텍처? 알고리즘 지식과 Wipro의 VLSI 설계 능력을 결합하여 제품을 개발하였고, 그 결과 개발 기간은 50% 정도, 개발 비용은 무려 80%에 이르는 감소 효과를 거두었다.

둘째, 항공 분야에서의 EO 성공사례이다. 항공 산업에서는 유럽의 한 항공제조사에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한 항공기 객실전자시스템(Aircraft Cabin Electronics System) 구축이 대표적인 적용사례라 할 수 있다. Wipro는 자사가 보유한 임베디드 SW 및 HW 관련 전문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아키텍처 설계부터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개발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기술적 서비스를 항공전자(Avionics)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시켰다. 도메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방대한 인력풀은 고객사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개발기간 단축을 통해 시장적시성을 높일 수 있었다.

이 사례가 항공 분야에서 임베디드 SW 적용의 대표적인 사례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는 이유는 항공기 전자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모든 SW모듈 개발의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처리했다는 점이다. 물론, 과거에도 항공분야에서 임베디드 SW의 적용 예는 많았으나 주로 수요기업이 내부 개발하거나 일부분만 아웃소싱 되었다는 점에서 임베디드 SW 기업의 적용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Wipro의 사례는 이를 넘어서 일련의 R&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확장의 관점에서의 성공사례로 볼 수 있다.

끝으로 자동차 산업에서는 Magneti Marelli社의 텔레매틱스장치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사례이다.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GSM 폰, 오디오, 긴급서비스, 네비게이션, 인터넷접속, 온도조절장치 등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fully integrated infotainment system)을 구현할 수 있는 제품을 원하고 있었고, Wipro는 인포메이션과 엔터테인먼트가 모두 제공 될 수 있는 Mageneti Marelli의 Driver Information System 개발에 참여하였다.

Wipro는 이 중에서 모든 HMI(humanmachine interface) 모듈, 기능적 모듈(API layers), 그래픽 라이브러리 등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담당하였다. Wipro는 자동화된 HMI 코드 생성기인 CodeGen을 사용함으로써 개발시간을 30%나 단축할 수 있었고, 이로써 Mageneti Marelli는 경쟁사보다 한발 앞서 하이엔드급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출시할 수 있었다. 현재는 텔레매틱스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넘어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에 적극 참여하는 등 미래 자동차용 소프트웨어분야로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3. 국내 사례 : 삼성SDS
1) EO 사업현황

국내 업체들도 이런 시대의 변화에 맞춰 EO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국내 1위 IT서비스 회사인 삼성SDS의 경우 2010년 글로벌 TOP-10 IT서비스 회사로 성장하기 위한 6개 핵심전략 사업 군 중의 하나로 EO 사업을 선정하여 집중 육성할 만큼 시장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면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삼성SDS는 엔지니어링 아웃소싱(EO)을 고객의 제품에 기반해 제품생명주기관리, 임베디드 SW 아웃소싱, 생산라인 SW 관리 등을 수행하는'IT서비스 2.0'개념의 아웃소싱으로 간주하고 적극 사업을 펼치고 있다. 2009년 3월 현재 600명에 이르는 EO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관계사를 대상으로 임베디드 SW 개발 및 SW 엔지니어링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점차 대외로 범위와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미국 PRTM 사와 제휴를 맺고 제품수명관리(PLM)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간의 매출액 성장세를 보면 EO사업의 성장매력도를 충분히 가늠하고도 남는다. 2005년 사업초기만 하더라도 53억 원에 그치던 매출액이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2008년 1,212억 원으로 3년 만에 20배 급성장하였다. 이러한 매출성장세를 반영한 듯 올해는 EO 사업에서만 2,000억 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공서비스 측면에서는 2005년 임베디드 SW 개발을 시작으로 2008년 SW공학, SW테스팅, PLM, B2B솔루션/서비스 영역으로 점차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아래는 삼성SDS의 EO 사업 서비스라인을 요약한 자료이다.

2) 적용사례 : 통합출력관리서비스
삼성SDS의 대표적인 EO 적용사례는 삼성전자 프린팅사업부와 공동으로 수행하는 MPS(Managed Printing Service) 사업이다. 프린터에 문서출력₩이미지저장, 문서보안, 통계·리포팅관리 솔루션을 결합하여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함으로써, 제조사인 삼성전자에게는 프린터 매출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프린터 관리비용 절감 및 보안 등의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4. 국내 SW산업에 주는 시사점
우리 산업구조적 특성에 기반할 때 EO 우선 적용분야로는 자동차 산업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글로벌 EO 시 현황에서 살펴보았듯이, 자동차 분야는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엔지니어링 서비스 시장을 보유한 산업이며, 미래에도 여전히 가장 큰 엔지니어링 서비스 시장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엔지니어링 서비스 중 13~20% 정도가 아웃소싱 시장이라고 가정했을 때 단순 계산으로도 2020년경이면 243~374억 달러의 새로운 시장이 열린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실로 엄청난 규모의 시장임과 동시에 상당히 매력적인 시장이다.

▲ 삼성 SDS의 EO사업 서비스 라인

▲ 삼성 SDS의 EO사업 서비스 라인


▲ MPS 개요

▲ MPS 개요


또한 국내적으로 보더라도 우리에게 자동차 산업은 세계 5위의 경쟁력을 지닌 비교우위 전략 산업이기도 하다. 따라서 자동차 산업이 내재하고 있는 엔지니어링 아웃소싱의 잠재 수요와 우리의 비교우위 공급역량을 동시에 고려해 볼 때 현재 우리가 역점을 두고 준비해야 할 우선 공략분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제공 서비스 영역에서는 설계 및 테스팅 영역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제품의 서비스화, 제품의 다기능화·첨단화 등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제품 라이프사이클 중 설계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비용 측면에서는 제품 라이프사이클 가운데 낮은 쪽에 속하지만 실제 제품화 이후 타 제품과 차별화시키고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이 설계단계에서 판가름 나게 된다.

지난 호의 글로벌 시장수요 조사에서 나타났듯이 여러 서비스영역 중 설계 단계가 가장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는 것도 이러한 중요성 때문일 것이다. 실제 글로벌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기업들은 산업영역에 상관없이 설계 서비스는 거의 공통적인 서비스 모듈로 제공하고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이 서비스 수요측면에서 볼 때 설계 서비스는 설계 자체의 중요성과 함께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자동차, 항공기, 의료장비 등 다양한 산업 제품에 SW 탑재가 늘어나고 SW 결함이 곧 제품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SW 테스팅 서비스도 엔지니어링 아웃소싱의 새로운 서비스 영역으로 관심을 가져볼만한 영역이다. 수요기업들은 결함 없는 제품 생산, SW유지보수 비용 감소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며 이러한 수요기업들의 노력은 궁극적으로는 전문적인 SW 테스팅 서비스에 대한 수요 미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SW가 치게 복잡화되고 규모가 커지면서 더 이상 내부 역량만으로 SW 테스팅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SW 테스팅 업무SWSW 전문기업과 제휴 또는 위탁하는 사레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삼성전자, LG전자를 중심으로 아웃소싱 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끝으로 정책적 측면에서는 국내에서도 가상 제조 및 테스팅 환경 구현을 통해 기술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아직까지 국내 SW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대형수요기업에 직접적인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제공이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수요처와 공급 기업을 연결시켜주는 매개로서의 역할도 필요한 부분이다. 즉, 현재 수요기업들의 활용도가 높은 설계서비스나 테스팅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하는'엔지니어링 아웃소싱 서비스 센터(가칭)'설립이 그것이다.

이곳에서는 IT/SW기술을 활용하여 제조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화를 극대화하거나 기업 내외부의 제조관련 정보화지원, 기업 간 협업생산 등을 지원토록 한다. 제품설계를 위한 가상의 온라인 협업 환경을 제공하거나 테스팅 관련 표준화 및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공동개발 및 적용을 수행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제품 및 부품을 특성화한 DB를 구축하고 분야별 기술정보 공유를 통해 엔지니어링 서비스 역량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수요기업 입장에서는 산업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엔지니어링 아웃소싱 기업 풀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급기업 입장에서는 수요기업과 공동협력을 통해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