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VoIP 서비스 관련해 070 번호 부여에 따른 시장 활성화에 관련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070 착신번호가 부여되면 그동안 착신번호가 없어서 활발하게 모색되지 못했던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창출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는 것.
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는 상황이다. 오히려 단기간 효과는 없을 것이라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다. VoIP 서비스 사업을 이끌어갈 지배적인 별정사업자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취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하나로텔레콤이나 SK텔링크, 데이콤, KT 등의 기간사업자들에게 이 역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이들 업체는 이러한 역할에 별 관심이 없는 상황이다. 하나로텔레콤은 자사 시내전화 번호를 VoIP 서비스에 그대로 적용하고자 노력중이다. 따라서 070 번호는 부차적인 사항일뿐이다. SK텔링크나 데이콤도 접근방향이 조금씩 달라서 주도적으로 VoIP 070 서비스에 큰 기대를 걸고 있지 않다. KT는 기존 음성전화 시장 보호차원에서 VoIP 서비스 자체에 미온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현상황에서 070 번호 부여에 따른 효과는 적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지배적인 생각이다. 070 번호가 부여되더라도 상호접속자망 연동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070 번호체제를 통해 각기 다른 VoIP 서비스 사업자간에 전화가 연동되어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선행조건으로 기간사업자간 연동과 별정사업자간의 연동 등이 보장되어야 한다.
정통부 담당 사무관은 올 12월까지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무리할 계획이지만 쉽게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기간통신사업자의 경우 상호연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사간 IP망 연계에 따른 비용지불과 단가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KT나 하나로텔레콤가 요구하는 요금체계와 별정사업자가 생각하는 요금체계는 많은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통부가 이 부분에 대해 강제력을 행사하기도 어렵다. 정통부는 인터넷 전화에 대한 070 번호 부여와 관련해 기존 음성전화 시장 체제에 큰 변화를 주지 않는 상황(기존 시장체제를 보호하면서)에서 인터넷 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따라서 VoIP 서비스 시장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규제 이슈와 함께 업체간 입장 조율 부분에 획기적인 접근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안희권 기자>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