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핵심 사업 수행기업 선정 완료…“‘디지털 뉴딜반’ 운영하며 성공에 만전 기할 것”

[아이티데일리] 디지털 뉴딜 사업의 대표 과제인 ‘데이터 댐’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7대 핵심과제 수행기업 선정 작업을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월 18일 춘천 디지털 경제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데이터 댐은) 공공과 민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모으고, 이를 표준화하고 가공·활용해 더 똑똑한 AI를 만들며,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 부처들은 디지털 뉴딜 사업의 과제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세부 과제를 함께 기획했다. 수요 발굴 과정에서 행안부·환경부·산업부·중기부 등 16개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들은 물론, 20여 개 전문 기관들의 범정부적인 협력이 이뤄졌다. 5월부터 민간전문가 간담회와 사업설명회, 민·관 합동 연석회의 등을 거쳐 수요 조사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으며, 지난 7월부터는 추경예산 확정과 사업 공고, 접수 및 평가 등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댐 프로젝트를 위해 디지털 혁신 분야의 내용을 망라하고 상호 긴밀히 연계될 수 있는 7개 핵심 사업을 선정했다. 7개 핵심 사업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AI 바우처 ▲AI 데이터 가공 바우처 ▲AI 융합(AI+X) 프로젝트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클라우드 바우처 ▲빅데이터 플랫폼 센터 구축 등으로 구성된다.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총 4,739개 기업·기관이 지원했으며, 최종적으로 2,103개 수행기관을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첫 해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 데이터 댐 7개 핵심 사업의 연계 구성도

7개 핵심 사업 개요
1)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해당 사업은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가장 기초이자 핵심으로, AI 서비스 개발에 필수적인 학습용 데이터를 대규모로 구축 및 개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7개 과제 중 가장 많은 2,92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텍스트 데이터 7억 건, 이미지 데이터 6천만 건, 음성 데이터 6만 시간, 영상 데이터 1만5천 시간 등 대량의 데이터를 구축한다.

민간과 공공 수요, 해외 공개 데이터 등 총 1,250개 후보과제를 평가해 10대 분야 150종의 데이터를 선정했으며, 유사한 데이터를 그룹화해 72개 그룹과제를 도출했다. 총 1,920개 기업 및 기관이 신청해 4.2: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584개 기업 및 기관이 선정됐다. 특히 AI 개발 기업 및 크라우드소싱 기업들은 물론, 서울대학교·KAIST 등 37개 대학산학협력단과 21개 주요 병원 등 분야별 전문기업·기관이 대거 참여해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AI 바우처
다양한 분야의 중소·벤처기업들이 자사 제품에 AI를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AI 바우처’를 지원한다. AI를 도입하고자 하는 수요기업은 해당 솔루션·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기업의 제품을 기업 당 최대 3억 원까지 제공되는 바우처로 구매할 수 있다.

올해 상반기 AI 바우처 사업에는 14개 과제에 325개 기업이 지원해 24: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에 정부는 시장의 폭발적인 수요를 인식하고 하반기에는 추경예산 560억 원 규모, 475개 과제로 추가 모집을 진행했으며, 총 733개 기업이 지원해 2.4:1의 경쟁률을 보였다.

3) AI 데이터 가공 바우처
중소기업·스타트업 등이 보유한 데이터를 AI 학습에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지원한다. 수요기업은 총 620건, 489억 원 규모로 제공되는 바우처를 활용해 원하는 공급기업으로부터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지원받게 된다. 지난해에는 해당 사업에 471개 기업이 수요기업으로 신청했지만 올해에는 2,076개 기업의 신청이 집중됐다. 공급기업 역시 지난해 393개에 비해 올해 719개로 크게 늘어났다. 이는 민간 시장의 데이터 가공 수요가 크게 증가했음은 물론, 데이터 판매와 가공 역량을 갖춘 기업 저변 역시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수요기업 중 ICT 분야 이외의 기업 비율이 크게 증가해 AI·데이터 기술과 서비스들이 전 산업분야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요기업 중 비 ICT 기업은 2019년 41.2%였으나 2020년 추경 사업에서는 84.8%로 증가했으며, 제조·교육·의료·문화·유통·환경·금융 등 전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데이터 가공 수요가 접수됐다.

4) AI 융합 프로젝트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수집·축적된 데이터를 AI 개발 및 활용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AI 기반의 혁신을 가속화한다. 이를 통해 AI 기업들이 알고리즘 고도화와 초기 사업 기회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에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국민 체감도가 큰 ▲군 의료 지원 ▲감영병 대응 ▲해안경계 ▲산단 에너지 효율화 ▲불법 복제품 판독 등 8개 분야 프로젝트를 우선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추경 사업에서는 총 282억 원을 투입해 데이터를 제공하고 활용할 기관 및 기업을 모집했으며, 다수 프로젝트에서 경쟁형 방식을 도입해 총 16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과기정통부 측은 이번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된 AI 기업들이 의료·머신비전·SOC 등 특화된 분야에서 높은 기술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며, 양질의 데이터와 도메인 지식을 갖춘 국내 기관·지자체들과 함께 사업 성과를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5)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해당 사업은 지난 6월 발표된 ‘클라우드 산업 발전전략’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비즈니스 연속성 보장과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산업분야를 선정해 클라우드 서비스 통합 플랫폼과 서비스 개발을 지원한다.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을 중심으로 10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연합해 세계적인 수준의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한다. 특히 플랫폼 개발은 KT, NBP, NHN 등 국내 대형 클라우드 기업이 참여하고 서비스 개발은 다수의 중소기업들이 주도해, 국내 클라우드 업계의 대·중·소기업 협력 체계도 강화한다.

올해에는 250억 원 규모로 제조·물류·헬스케어·교육·비대면 복지 등 5개 산업분야를 선정, 4개의 플랫폼 개발 과제와 63개 서비스 개발 과제를 선정했다. 정부 측은 이번 사업으로 개발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향후 ‘클라우드 이용 바우처 사업’과 연계해 폭넓은 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오는 2024년까지 매년 5개 산업분야를 새롭게 선정해 지원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6) 클라우드 이용 바우처 사업
클라우드 이용료를 지원하는 ‘중소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 확산사업’을 확대 개편한 사이다.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산업 발전전략’의 핵심 과제 중 하나다. 대상 기업의 업무 환경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재편해 업무 연속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과기정통부 측은 기업 당 지원 금액을 기존의 연 3백만 원에서 2천만 원으로 크게 늘리고, 선착순이 아니라 디지털 전환 가능성을 기준으로 수요기업을 선정해 보다 효과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에는 총 458개 기업이 신청해 346개 기업이 1차 대상으로 선정됐으며, 9월 중 수요기업을 추가 선정해 연내 총 600개 이상의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7)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산업 분야별로 공공과 민간이 협업해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데이터 생태계를 혁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 중 하나다. 이미 지난해 10개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해왔으며, 지난 3월에는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유용한 데이터를 검색 및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검색 포털인 ‘통합 데이터 지도’를 공개한 바 있다.

이번 추경에서는 해당 사업에 405억 원을 투입해 5개 빅데이터 플랫폽과 50개 센터를 추가 구축한다. 지난 7월 공모에서는 14개 컨소시엄이 신청해 2.8: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현재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면밀한 평가를 거쳐 적정성 검토를 수행하는 중이다.

▲ 과기정통부는 세 가지 목표에 역점을 두고 데이터 댐 관련 프로젝트를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디지털 생태계 활성화 위한 지속적 관심 필요
과기정통부 측은 이번 데이터 댐 프로젝트를 통해 당초 기대보다 훨씬 더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예를 들어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의 경우 참여기업들이 직접고용과 크라우드소싱 등으로 약 2만8천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제안했으며, 추가적인 과제 조정 등을 통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한국판 뉴딜’ 사업에서 발표된 일자리 창출 예측치인 2만4천여 명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 관리 ▲디지털 전문계약 제도 도입 ▲AI 법제도 개선 및 윤리 정립 등 3가지 목표에 중점을 두고 관련 제도 개선과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국내 디지털 생태계가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양질의 데이터 확보로 연료를 제공하고,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 제도와 AI 관련 법제도를 개선해 활성화의 토양을 다지겠다는 취지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관련 추경 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에 감사드린다”며, “정부의 노력뿐만 아니라 민간의 투자와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법‧제도적 인프라 구축을 병행하며 ‘디지털 뉴딜반’을 운영해 데이터 댐 관련 프로젝트의 차질없는 시행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