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IDC,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트렌드 보고서’ 발표

[아이티데일리] 국내 스마트시티 관련 시장이 공급자, 즉 정부 주도의 개발에서 이제는 기업과 시민 사회가 주도하는 서비스 개발로 무게중심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러 가지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면서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들이 확산되는 추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IDC는 최근 발간한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따른 국내 스마트시티 산업 현황과 발전 방향 및 도전과제를 제시했다.

한국IDC는 보고서에서 최근 국내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세 가지로 설명했다. 첫 번째는 관련 사업의 초점이 ICT 인프라 공급자 주도형 개발에서 시민 체감형 서비스 개발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정부 주도의 탑다운 방식이 아니라 바텀업 방식으로 시민의 경험을 강화하고, 시 전체의 공감을 통해 도시를 개발하는 형태가 일반화되고 있다.

두 번째는 스마트시티 산업에서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움직임이 확산됨에 따라, 산업의 집합체 역할을 하는 도시에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융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 기술들을 시험적으로 적용해볼 수 있어 파급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영역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U시티부터 시작된 국내 스마트시티는 택지개발부터 도시 생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인프라를 우선적으로 조성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존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고도화와 함께 교육, 문화, 행정, 시민참여, 스마트 워터, 공중 보건 등 다양한 영역으로 서비스가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한국IDC가 발표한 ‘국내 스마트시티 서비스 현황’

한편 최근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사회 전반의 생활환경 변화를 맞이하는 포스트 코로나19 방안 구축이 스마트시티 산업의 새로운 도전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국토교통부와 보건복지부가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을 만들었다.

해당 사업에는 국토교통부, 질병관리본부가 협력했으며 경찰청, 통신사, 여신금융협회, 신용카드사까지 민관의 여러 이해관계자간 협력체계가 갖춰졌다. 이에 따라 그동안 스마트시티 발전을 저해하던 정보 및 조직간 사일로(Silo)를 완화하면서 상황에 맞는 유연한 협력체계 구축의 성공사례를 제시했다. 다만 중앙 정부 주도의 정보 취합과 공유는 시민들의 사생활 침해 등을 야기할 수 있어, 정보보호를 위한 관련 기관의 기술적 보완과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할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사회 전반의 비대면(Untact) 추세는 스마트시티 행정, 운영, 대시민 서비스 전반에 변화를 야기할 전망이다. 드라이브 스루 진료, 로봇 AI 진료, 보건소 AI 상담사 등 국내에서 진행한 코로나 대책은 물론, 일반적인 도시 행정 및 운영과 시민의 생활에서도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김경민 한국IDC 수석연구원은 “국내 스마트시티는 공급자 주도에서 기업 및 시민 중심으로 분명한 이니셔티브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한 단계 진화하고 있다”며, “최근 발생한 코로나19는 이러한 국내 스마트 시티의 성숙도를 평가받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연구원은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조직간 데이터 공유는 사일로를 완화하면서 한 단계 발전된 스마트 시티 서비스를 생성시키고 있는 반면, 사생활 침해라는 사회적 안건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기후변화, 환경오염 등으로 예기치 않은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 확산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도시 회복탄력성에 기반한 도시 인프라 및 서비스 구축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